기초학력진단결과 공개 타당성 등 교육현안 집중 토론
교육계와 시민사회 및 학부모들 다양한 의견 교환
교육계와 시민사회 및 학부모들 다양한 의견 교환

이날 토론회는 김호월 교육앤시민 편집장이 발제를, 박재형 전 덕원중학교 교장과 심임섭 복잡성교육학회 회장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그리고 서울시의회 심미경 의원(국민의힘, 동대문2), 박춘선 의원(국민의힘, 강동3), 이경숙 의원(국민의힘, 도봉1)이 참석했으며, 이외에도 김정욱 기회평등학부모연대 대표, 이규석 자유교육미래포럼 고문이 참석했다.
발제자 김호월 편집장은 "서울시의회가 제정·공포한 ‘기초학력보장지원에관한조례'의 법적 절차에 아무런 하자가 없었고, 상위법에 의하면 오히려 서울시교육청 조희연 교육감이 시의회에 조례 제정을 요구해야 마땅한 사안이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보도를 통해 비판 일색이었던 점이 아쉽다"고 말했다.
김 편집장은 해당 조례 통과 전·후의 언론보도 주요 프레임을 5가지로 분석, 모두 근거가 없거나 왜곡, 과장, 선동된 가짜뉴스라고 말했다.
토론자 박재형 교장은 언론의 비판내용들을 13가지로 요약한 후 그 각각에 대해 학교현장경험을 바탕으로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 예로, 지역별 소득수준이나 부모의 교육수준이 공개된다며 진단결과 공개를 반대하는 주장에 대해, 박 교장은 “각급 학교 현장에서는 성명 생년월일 주소 외에는 부모의 소득이나 직업 또는 교육 정도를 알 수 있는 어떠한 정보도 없다, 교육수준 진단결과 공개하고는 전혀 무관한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심임섭 회장은 기초학력미달에 관한 자료 공개를 두고 벌어지는 양측의 공방을 넘어서서 새로운 교육적 담론으로 바라보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심 회장은 ”지필평가가 대세인 현 상황을 넘어서 비인지영역의 평가가 인지영역의 평가와 함께 새로운 관심 대상이 되어야 한다“며”“수직적 위계질서를 기반으로 한 책무성과 함께 수평적 이해관계자들의 책무성을 함께 묻는 다중책무성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 그래야 일각에서 우려하는 적대적 경쟁과 성적에 의한 서열화 그리고 부정적 의미의 사교육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자유토론에서는 이경숙 의원(학력향상특위 위원장)과 이종태 의원(학력향상특위 위원)이 참여해 서울시의회와 교육현장 간 원활한 소통을 보여줘, 조례 제정 취지를 알리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후문이다.
특히 이번 조례가 시민들이 알고 있는 것처럼 학생들의 성적을 공개하자는 것이 아니라 학교단위의 기초학력 미달 통계현황을 공개하자는 것이었고, 그나마도 학교장의 재량에 맡기는 임의규정이었다는 점에 대해 교육계 인사들조차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경숙 의원은 “조례 제정 후 교육계의 반대 목소리만 듣다가 오늘 조례 제정을 지지하는 교육계 인사들을 만나니 매우 반가웠다”며, “국민의힘이 다수인 서울시의회가 보수교육계와 시민사회와 소통하려는 노력이 미흡했다”고 말했다.
노춘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vanish119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