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검단 연장노선 검단에 2개 역 설치

글로벌이코노믹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검단 연장노선 검단에 2개 역 설치

국토부 대광위, '인천 검단 2개역 경유' 조정안 제시
 19일 국토교통부가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 사업의 조정노선과 사업비용 분담 방안 등을 제시했다. 조정안은 오는 2월까지 지역 주민 등 의견 수렴을 거칠 예정이다. 그래픽=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19일 국토교통부가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 사업의 조정노선과 사업비용 분담 방안 등을 제시했다. 조정안은 오는 2월까지 지역 주민 등 의견 수렴을 거칠 예정이다. 그래픽=뉴시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19일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검단 연장 사업의 조정안을 발표했다.

조정안은 인천시가 요구했던 4개 역 중 101역과 102역 2개 역을 경유하고, 인천시와 김포시 경계 지역인 인천 불로동 소재 역을 김포 감정동으로 옮기는 노선을 제시했다. 이러한 조정 노선의 총 길이는 25.56㎞, 사업비는 3조700억원 수준이며, 통행시간은 25분이다.

우선 인천 측에서 요구했던 검단 아라동 소재 101역은 이용수요, 수혜인구 등을 고려해 노선에 반영하는 쪽으로 결정됐다. 검단신도시 중심 지역으로 역 500m 이내에 있는 수혜 인구가 많아 서울 출퇴근 수요 분산 유도로 공항철도(계양역) 혼잡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대광위의 설명이다.

또 인천1호선과 연결되는 검단 원당동 소재 102역 역시 지자체간 이견이 없어 노선에 그대로 반영됐다.
그러나 인천시 안 중 검단 신도시 중심으로 가장 깊게 들어오는 원당역은 연장 노선에서 빠졌다. 이용 수요 및 정거장간 거리 등을 고려해 미반영했다는 것이 대광위의 설명이다.

한편 대광위는 김포-검단 경계 지역에 위치한 불로동 정거장을 김포 감정동으로 조정하기도 했다. 감정역의 이용수요는 불로역의 1.5배인 하루 1만2819명이고, 수혜 인구도 1만4113명에 달하는 등 인근 개발계획을 고려한 이용수요와 철도망 연계를 고려했다는 것이 대광위의 설명이다.

대광위는 해당 조정안에 대해 "인천·김포안 대비 조정안은 BC(비용대비편익 0.89) 및 이용수요(하루 11만4807명) 측면에서 가장 우월하며, 사업비·통행시간은 중간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기존 인천시안의 BC는 0.84, 이용 수요는 하루 11만654명이고, 김포시안은 각각 0.88, 10만6250명으로 집계된다.

한편 대광위는 이러한 연장 사업의 사업비 등을 인천시, 김포시와 각각 분담하는 방안도 새로 내놓았다.

먼저 5호선 연장사업 총사업비의 경우 인천과 김포시에 각각 소요되는 사업비를 그 수혜범위의 비율만큼 검단 신도시와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의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비'에서 분담하는 안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인천지역 사업비(6714억원)와 김포지역 사업비(2조2648억원)의 비율인 1 : 3.4의 비율로 사업비를 분담하되, 지자체 의견수렴 등 후속 과정에서 사업비가 변경될 경우 비율을 재산정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이번 사업의 선제조건인 서울 방화동 건설폐기물처리장(건폐장) 이전 사업 역시 김포시·인천시의 공동 책임하에 추진하는 것을 제안했다.

지난 2022년 11월 서울시와 김포시의 업무협약 내용을 고려해 부지 제공 등 역할을 분담하되, 분담 비율 등은 인천시가 김포시와 별도 협의를 거쳐 확정하도록 했다.

이번에 발표한 조정안은 오는 2월까지 지자체 주관으로 지역 주민 등 의견 수렴을 거칠 예정이며, 대광위는 이후 의견수렴 결과 등을 검토해 '서울5호선 김포검단 연장' 사업을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이번 조정안 발표를 계기로 그간 중단됐던 사업 추진 절차가 신속히 추진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면서 "이를 위해 조정안에 대한 두 지자체의 대승적인 수용을 기대하며 이어지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도 두 지자체가 적극 협력해 지역 주민들의 5호선 이용이 앞당겨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