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아동인구 10년새 200만명 줄었다…올해 700만명선 무너질 듯

글로벌이코노믹

아동인구 10년새 200만명 줄었다…올해 700만명선 무너질 듯

전체 인구 아동 비중도 18%에서 13.8%로 떨어져
이미지 확대보기
우리나라 18세 미만 아동 인구가 저출산 영향으로 최근 10년 사이 200만명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보건복지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0∼17세 아동 인구는 707만7206명으로 2014년 918만6841명보다 210만9000여명(23%) 줄었다.

이 기간 전체 인구에서 아동이 차지하는 비중도 18%에서 13.8%로 떨어졌다.

특히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이 지난해 3분기 0.7명으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8개 회원국 중 가장 낮을 정도로 저출산이 심각해지면서 올해는 아동 인구가 700만명 밑으로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저출산은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합계출산율이 0명대로 심각하다.

이같은 저출산으로 인해 어린이들이 감소하면서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의 폐원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육아정책연구소에 따르면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저위 추계)를 활용해 취원율과 정원 충족률이 동일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해 분석한 결과 2022년 3만9053곳이던 어린이집과 유치원은 2028년 2만6637곳으로 31.8%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6년 만에 약 1만3000곳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이 사라지는 셈이다.

지난해 3분기 출생아 수는 5만6794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7381명(11.5%)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3분기 기준 역대 최저다. 분기 기준 출생아 수는 2016년 1분기부터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원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wsed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