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착수

변경 고시된 울산 남신항 기타광석부두는 5만DWT급 1선석으로 안벽길이 320m, 면적 9만7000㎡ 규모다.
이에 따라 울산항만공사(UPA, 사장 변재영)는 1분기 내 기타광석부두 개발에 대한 타당성 승인을 해양수산부로부터 획득해 연내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을 착수할 예정이라고 21일 밝혔다.
UPA는 기타광석부두의 효율적인 공사를 위해 옆에 위치한 철재부두 축조공사와 연계 추진 할 계획으로, 1300여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2030년까지 개발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UPA는 지난 2023년 4월부터 2024년 6월까지 항만기본계획 재검토 용역을 진행해 광석부두로 부두기능 변경안을 마련했고, 지난해 9월 기본계획 수시변경 요청서를 해양수산부에 제출한 바 있다.
현재 울산항의 기타광석 연간 하역능력은 351만 톤(3선석)으로 지난 2021년 제4차 항만기본계획에 반영된 281만 톤(2선석)을 감안 하더라도 2030년 예측물동량인 716만 톤보다 하역능력이 부족해 1선석이 더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변재영 울산항만공사 사장은 “울산 남방파제 1-2단계 준공과 함께 철재부두, 기타광석부두를 시작으로 남신항 2단계 개발이 본격화될 예정이다”라며 “울산항의 항만경쟁력을 높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강세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emin382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