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김대경 중소벤처부 비즈니스지원단 전문위원...“현장에서 가장 원하는 건 속도"

글로벌이코노믹

김대경 중소벤처부 비즈니스지원단 전문위원...“현장에서 가장 원하는 건 속도"

이미지 확대보기
새 정부의 ‘경제 재도약’ 기조에 맞춰, 소상공인·스타트업·중소기업 현장도 분주해지고 있다. 그 중심에는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비즈니스지원단이 있다. 창업 초기부터 재도전 단계까지 밀착 컨설팅을 제공하는 이 조직은, 정책의 ‘첫 단추’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이코노믹은 비즈니스지원단의 전문위원이자 현장 멘토로 활동 중인 김대경 위원을 만나 현장의 분위기와 새 정부에 거는 기대, 향후 과제를 들어봤다.

“규제 개선부터 자금 유치까지... 컨설팅 수요 급증”


Q. 새 정부 출범이후 창업·벤처 업계의 기대감이 큽니다. 현장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김대경 위원 “무엇보다 ‘속도’에 대한 기대가 큽니다. 규제 완화, R&D 세액공제 확대 등 공약이 신속히 이행되길 바라는 분위기입니다. 저희 지원단에도 'T+1 결제제'나 '패스트트랙 상장' 등 정책 변화에 맞춘 자문 요청이 늘고 있습니다.”

Q.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은 어떤 부분에서 지원단의 도움을 가장 체감합니까?

“첫째는 비용 절감입니다. 하루 7만 원 이하로 고가 컨설팅을 받을 수 있거든요. 둘째는 ‘현장 방문 → 바로 실행’ 구조입니다. 부가세 환급이 막힌 기업이라면 첫날 장부를 확인하고, 둘째 날 바로 신고서 초안을 작성해주는 식입니다.”

Q. 창업 초기 문의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인상적인 사례가 있을까요?

“친환경 소재 스타트업 한 곳이 법인 설립 두 달 만에 ‘벤처기업 확인’을 받아야 투자 계약을 진행할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저희가 벤처확인과 기업부설연구소 인증, 특허 출원까지 창업 초기 로드맵을 구성했고, 정책자금 매뉴얼까지 제공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한 달 만에 15억 원 브릿지 투자를 성사시켰습니다.”

Q. 상담 방식과 분야는 어떻게 구성돼 있습니까?

“기본은 전화 상담이지만, 보통은 전문위원이 3회 정도 직접 방문하는 ‘상담클리닉’ 형태가 많습니다. 분야는 다음과 같이 13개로 나뉩니다.

▲창업: 창업 절차, 사업계획, 인증 등▲경영전략: 조직 개선, 리더십 개발▲마케팅/디자인: 브랜딩, 온라인 마케팅▲법무: 계약서 검토, 분쟁 대응▲금융: 자금 조달, 투자 유치▲인사/노무: 근로계약, 임금체계▲회계/세무: 장부 작성, 세무 신고▲수출입: 통관, 해외 인증▲기술/R&D: 품질 관리, 기술 기획▲특허: 출원 전략, 지식재산 보호▲생산관리: 공정 개선, 생산성 향상

Q. 컨설팅 후 사후관리까지 하나요?

“맞습니다. 보통 3~6개월 뒤 온라인 리포트로 점검합니다. 고용·매출·투자유치 같은 KPI 달성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컨설팅을 연계합니다. 실패 기업에게는 ‘회생·법무·재창업’ 3종 멘토링을 한 묶음으로 제공하는 ‘리셋 패키지’도 운영합니다.”

“재도전 핵심은 ‘시장 재진입 속도’… 매각·M&A 플랫폼 절실”


Q. 실패 기업에 대한 지원은 역대 정부 모두 강조했지만 성과는 미미했습니다. 새 정부가 보완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요?

“예전에는 채무 조정이 중심이었지만, 이제는 ‘재진입 속도’가 핵심입니다. 인력·IP·기술을 묶어 매각하거나 M&A 플랫폼을 가동해서 ‘소프트 랜딩’할 수 있게 도와야 합니다. 저희도 멘토 매칭 풀을 두 배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Q. 기업이 지원단 컨설팅을 120% 활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첫째, 사전 설문을 성실히 작성해야 합니다. 그래야 처방도 정확해집니다. 둘째, 온라인 상담으로 시작해 현장 자문을 예약하면 비용과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결과를 곧바로 실행해야 효과가 큽니다. 액션 플랜까지 제공하니, 내부 담당자를 지정해두는 게 좋습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