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평택호, 환경부 ‘중점관리저수지’로 최종 지정

글로벌이코노믹

평택호, 환경부 ‘중점관리저수지’로 최종 지정

평택호 전경. 사진=평택시이미지 확대보기
평택호 전경. 사진=평택시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지난 7일 평택호가 환경부가 지정하는 ‘중점관리저수지’에 최종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지정으로 평택호는 국가 차원의 집중적인 수질 개선과 생태 복원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확보하게 됐다.

‘중점관리저수지’는 수질 개선과 수생태계 복원, 수변휴양 기능 강화를 위해 환경부가 지정하는 제도로, 평택호는 최근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과 환경 악화로 인해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돼 왔다.

1973년 준공된 평택호는 총저수량 약 1억 톤 규모의 대형 저수지로, 황구지천·오산천·진위천·안성천 등 51개 국가 및 지방하천의 물이 모이는 경기 남부 핵심 수자원 공급처다. 유역 인구만 약 400만 명에 달한다.
그러나 최근 급격한 도시개발과 산업화 영향으로 수질은 농업용수 기준 4등급 수준에 머물고 있고, 여름철 녹조와 악취 문제는 주민들의 삶의 질을 위협하고 있어 앞으로 예정된 K-반도체 벨트 등 대규모 산업단지 개발로 폐수 유입 우려도 커지고 있다.

그동안 평택시는 수질 개선을 위해 생태하천 복원, 정화시설 설치 등 다양한 대책을 추진해왔으나, 단일 지자체 차원의 노력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시는 2023년 2월 평택호의 중점관리저수지 지정을 환경부에 정식 건의했으며, 1년 6개월간의 기술검토와 협의 끝에 이번 최종 지정이 확정됐다. 전국적으로 국가지원을 받는 대규모 저수지로는 첫 사례다.

시는 2030년까지 평택호의 수질을 현재 농업용수형 4등급에서 수변휴양형 3등급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생태하천복원사업 △수질정화습지 조성 △총인 처리시설 설치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구축 등 다양한 대책을 내년까지 수립해 환경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이번 지정은 환경부가 지역사회와 환경보전을 위해 내린 중요한 국가적 결단”이라며, “경기도, 충청남도,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 기관과 협력해 평택호를 경기 남부 최대의 청정 생태호수로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 주민들과도 긴밀히 소통하며 평택호 관광단지 개발과 연계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환경 보전을 동시에 실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지은 이형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uk151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