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업 60%, 정년 지난 고령자 ‘정년연장’보다 ‘재고용’ 선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업 60%, 정년 지난 고령자 ‘정년연장’보다 ‘재고용’ 선호

기업이 선호하는 60세 이후 고령자 계속고용방식 사진=경총이미지 확대보기
기업이 선호하는 60세 이후 고령자 계속고용방식 사진=경총
국내 기업 10곳 중 6곳은 법정정년인 60세 이후 고령자 고용방식으로 ‘정년연장’보다는 '재고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정년제를 운영 중인 전국 30인 이상 기업 1136개를 대상으로 '고령자 계속고용에 대한 기업 인식 및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60세 이후 고령자를 고용할 경우 어떤 방식을 가장 선호하는지 물은 결과, '재고용'이라는 응답이 61.0%로 가장 높았다. 300인 미만 기업이나 1000인 이상 기업 등 기업 규모에 상관없이 '재고용'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재고용되는 고령자의 적정 임금 수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50.8%가 퇴직 전 임금 대비 70~80% 수준'이라고 답했다. 재고용되는 고령자는 업무 성과, 결격사유 여부 등으로 평가해 '대상자를 선별해야 한다'는 응답이 84.9%로 조사됐다.
60세 이후 고령자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으로 '고령인력 채용 시 세제 혜택 부여(47.7%)'와 '고령인력 인건비 지원(46.3%)'을 많이 꼽았다.

경총은 이어 정년 60세 법제화 이후 최근까지 임금체계를 개편한 경험이 있는지를 물은 결과, '경험 없다'는 응답이 61.4%로 '경험 있다'는 응답 38.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64.1%가 정년 후 고령자를 '계속고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인력이 필요한 기업들이 좀 더 수월하게 고령인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인건비 부담을 줄이고, 같이 일할 사람을 고를 수 있도록 하는 실효적 조치가 금번 사회적 대화 과정에서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용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c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