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료품·화장품 등 비내구재, 가전제품 등 내구재 소비 큰 폭 하락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8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매판매액지수는 102.2(2020=100)로 전월 대비 2.4% 줄었다. 이는 2023년 2월(-3.5%) 이후 18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쿠폰 지급이 시작된 7월 소매판매가 2.7% 늘며 기대를 모았으나, 불과 한 달 만에 감소세로 반전된 셈이다. 특히 음식료품·화장품 등 비내구재(-3.9%), 가전제품·가구 등 내구재(-1.6%) 소비가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의복·신발·가방 등 준내구재 판매(1.0%) 증가로는 전반적인 하락세를 막지 못했다.
이는 추가경정예산을 통한 소비 촉진책이 일시적 수요를 앞당기는 ‘앞당기기 효과’에 그쳤음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소비쿠폰의 지급이 소비 기반을 다지는 선순환을 만들지 못하고 임시부양책으로만 작동했다는 것이다.
기재부와 통계청은 이번 결과를 ‘늦은 추석 변수’로 해석하며 방어에 나섰다. 추석이 9월 말로 밀리면서 8월 소비가 일부 이월됐다는 설명이다. 또, 9월 2차 소비쿠폰 지급과 명절 특수를 감안하면 9월 지표는 개선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해명이 정책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명절 수요 이월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다 하더라도 8월의 마이너스 기록 자체가 소비쿠폰 효과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낸다는 것이다. 한국은행 전직 관계자는 “소비쿠폰은 단기에 소비를 끌어올릴 수 있지만, 가처분소득과 소비심리가 안정적으로 뒷받침되지 않으면 결국 반짝 효과에 그친다”고 말했다.
한편 전산업생산 지수는 전월과 같은 114.5로, 두 달간 증가세를 이어가던 흐름이 멈췄다. 자동차 생산이 21.2% 급증하며 뚜렷한 호조를 보였지만, 건설업 생산이 6.1% 급감해 이를 상쇄했다. 이는 지난해 3월(-9.4%) 이후 17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정부가 강조한 선행지표인 건설수주와 경기선행지수 상승은 향후 회복 신호로 볼 수 있지만, 이번 소비쿠폰 사례는 단기 부양책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h2 class="mb-2 mt-4 font-display font-semimedium text-base first:mt-0" style="box-sizing: border-box; border-width: 0px; border-style: solid; border-color: oklch(var(--foreground-subtler-color)); scrollbar-color: initial; scrollbar-width: initial; --tw-border-spacing-x: 0; --tw-border-spacing-y: 0; --tw-translate-x: 0; --tw-translate-y: 0; --tw-rotate: 0; --tw-skew-x: 0; --tw-skew-y: 0; --tw-scale-x: 1; --tw-scale-y: 1; --tw-pan-x: ; --tw-pan-y: ; --tw-pinch-zoom: ; --tw-scroll-snap-strictness: proximity; --tw-gradient-from-position: ; --tw-gradient-via-position: ; --tw-gradient-to-position: ; --tw-ordinal: ; --tw-slashed-zero: ; --tw-numeric-figure: ; --tw-numeric-spacing: ; --tw-numeric-fraction: ; --tw-ring-inset: ; --tw-ring-offset-width: 0px; --tw-ring-offset-color: #fff; --tw-ring-color: rgb(59 130 246 / .5); --tw-ring-offset-shadow: 0 0 #0000; --tw-ring-shadow: 0 0 #0000; --tw-shadow: 0 0 #0000; --tw-shadow-colored: 0 0 #0000; --tw-blur: ; --tw-brightness: ; --tw-contrast: ; --tw-grayscale: ; --tw-hue-rotate: ; --tw-invert: ; --tw-saturate: ; --tw-sepia: ; --tw-drop-shadow: ; --tw-backdrop-blur: ; --tw-backdrop-brightness: ; --tw-backdrop-contrast: ; --tw-backdrop-grayscale: ; --tw-backdrop-hue-rotate: ; --tw-backdrop-invert: ; --tw-backdrop-opacity: ; --tw-backdrop-saturate: ; --tw-backdrop-sepia: ; --tw-contain-size: ; --tw-contain-layout: ; --tw-contain-paint: ; --tw-contain-style: ; font-size: 1rem; font-weight: var(--font-semimedium); margin: 1rem 0px 0.5rem; color: oklch(0.3039 0.04 213.68); line-height: 1.5rem; font-family: var(--font-fk-grotesk),ui-sans-serif,system-ui,-apple-system,BlinkMacSystemFont,"Segoe UI",Roboto,Helvetica Neue,Arial,"Noto Sans",sans-serif,"Apple Color Emoji","Segoe UI Emoji","Segoe UI Symbol","Noto Color Emoji"; letter-spacing: 0.08px; background-color: oklch(0.9902 0.004 106.47);">
결국 소비쿠폰의 성과는 “초기 반짝, 이후 꺾임”으로 요약된다. 근본적인 가계소득 확충, 고용 안정, 신뢰성 있는 민간 투자 확대 없이는 내수 회복의 지속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단기적 경기부양책에 의존하기보다는 실질임금 개선, 사회안전망 확충, 내수 활로 다각화 같은 구조적 대안이 뒤따라야 할 시점이라는 목소리가 경제 현장에서 커지고 있다.
임광복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