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4위 가상자산 거래소와 국내 1위 핀테크 기업 결합 주목

주가 3년 5개월 만에 최고
30일 증권플러스 비상장에 따르면 두나무 주가는 전날 장중 40만5000원까지 치솟으며 2022년 4월 22일 이후 3년 5개월 만의 최고가를 기록했다. 네이버파이낸셜 자회사 편입 소식이 퍼진 지난 25일 한때 30만원 초반대까지 밀렸던 주가는 하루 만에 급반등해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거래량도 평소 대비 10배 이상으로 폭증했다.
투자자들의 매수세는 합병으로 탄생할 법인이 향후 나스닥 단독 상장을 추진할 것이라는 관측에 쏠리고 있다. 세계 4위 가상자산 거래소와 국내 1위 핀테크 기업의 결합이 글로벌 시장에서 프리미엄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기대다.
증권가에선 두 회사가 생성할 시너지에 주목한다. 네이버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해 네이버페이 결제망과 두나무 블록체인 인프라 ‘기와’를 연결하는 신규 사업 모델이 거론되면서, 글로벌 투자자 수요를 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일부 증권사 보고서는 합병 후 법인의 시가총액이 최소 50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는 현재 코스피 상장 네이버와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단순 합산가치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비교 대상인 미국의 대표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나스닥에서 시총 100조원을 훌쩍 넘기고 있다.
시총 50조원 전망
두나무는 그동안 코스피 상장을 추진하기 어려웠던 상황에서 미국 증시 입성을 ‘숙원’ 과제로 삼아왔다. 네이버와 합병 후 나스닥 상장이 현실화하면, 두나무는 자사의 성장성과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정당한 가치로 인정받을 수 있다. 네이버 입장에서도 이미 코스피에 상장돼 있는 상황에서 ‘쪼개기 상장’ 비판을 피하고, 미국 자회사의 독립적 시장 가치를 부여받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관심은 합병 과정에서 산정될 주식 교환 비율로 모인다. 현재 시장은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의 기업가치를 약 4대1 비율로 추정한다. 이 비율에 따라 주식 교환이 이뤄질 경우 송치형 두나무 회장(지분 25.5%)은 합병 법인의 최대주주로 등극, 지분율 약 20%를 확보하게 된다. 최근 두나무 주가 급등이 이 교환 비율에 추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송 회장이 장차 네이버 최대주주가 될 가능성을 거론하지만, 업계에서는 이를 과장된 시각으로 평가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가 네이버파이낸셜까지 다시 합병할 가능성은 낮다”며 “오히려 네이버파이낸셜 단독 상장 가능성에 더 무게가 실린다”고 선을 그었다.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은 내달 하순 각각 이사회를 열고 주식 교환 비율과 구체적 합병 절차를 논의한다. 이번 합병이 현실화되고 미국 증시 입성까지 성사된다면, 국내 핀테크·블록체인 업계에 새로운 이정표로 기록될 전망이다.
임광복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c@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