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행정안전부가 공공부문 인공지능 전환(AX)을 총괄하는 전담 조직 'AI정부실'을 신설한다. 기존 디지털정부혁신실을 대체하는 형태로, 국가 전산망 마비 사태 이후 디지털 정부 전략을 전면 재정비하겠다는 취지다.
행정안전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조직개편안을 발표하고 공공부문 인공지능 정책을 총괄하는 AI정부실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AI정부실은 인공지능정부정책국, 서비스국, 기반국 등 3개 국으로 구성된다.
이는 기존 전자정부 정책을 담당하던 디지털정부혁신실을 폐지하고 조직을 재편한 것이다. 디지털정부혁신실은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발생한 전산망 마비 사태 대응을 맡아왔으나, 대응의 한계가 지적되면서 전면 쇄신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AI정부실 설치를 통해 공공부문 AX 추진 동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정책의 중심을 디지털정부에서 AI정부로 전환해 한 단계 진화된 공공서비스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행안부는 지방자치 기능 강화에 초점을 둔 자치혁신실과 사회연대경제국도 신설한다. 자치혁신실은 주민자치회 전면 시행과 주민소환제 요건 완화 등 지방자치 실효성 제고 정책을 추진한다.
윤 장관은 "자치혁신실에는 '참여·연대·혁신'이라는 행안부의 운영 철학을 반영했다"고 말했다.
균형발전지원국은 균형발전국으로 개편되고, 그 아래 지역소멸 대응과 기본적 생활 보장을 담당하는 기본사회정책과가 새로 설치된다. 정부혁신국은 참여혁신국으로 변경되며 국민참여정책과가 신설돼 국민주권 중심의 정부 정책을 추진한다.
행안부는 6일부터 조직개편안 입법예고에 들어간다. 법령 개정이 예정대로 진행되면 이달 말 새로운 조직체계가 적용될 전망이다.
개편이 완료되면 행안부는 기존 '1차관보·6실·1대변인·27국·관' 체계에서 '7실·1대변인·28국·관' 체계로 바뀐다. 기존 차관보 직제는 폐지된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반등...조정 반동으로 환매 부진도 나와](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714000402538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