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통신은 지난 26일 서울발 기사에서 북한 당국이 스마트폰 수입길이 막히자 중국과 대만 업체에서 부품을 수입해 스마트폰을 제작해왔다고 보도했다.
이 통신은 '제재로 부서진 북한의 스마트폰 사업이 어떻게 번창하는가(How a sanctions-busting smartphone business thrives in NK)'란 기사를 통해 북한의 스마트폰 이용실태와 대북제재 위반 상황을 분석해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탈북민 10명을 통해 입수한 북한 스마트폰 '평양 2418'과 '평양 2423' 등 두 대를 조사해본 결과 대만 업체인 '미디어텍(MediaTek)의 부품과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가 나왔다고 전했다. 지난해 제조된 평양 2423은 미디어텍의 칩셋과 도시바의 메모리카드 등을 사용했고 제조는 중국의 저가 스마트폰 제조업체 지오니(Gionee)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는 구글은 모든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공개형 운영체제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고, 미디어텍은 북한에 자사 제품을 판매한 적이 없으며 유엔 제재를 완전히 준수하고 있다고 해명했다고 전했다. 도시바는 북한과 사업을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이러한 대북제재에도 북한 시장에서 스마트폰 기기가 공급됨에 따라 북한의 휴대전화 사용인구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 주민 4명 중 1명에 달하는 약 600만 명이 현재 휴대전화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으며, 북한에서 휴대전화 한 대당 가격은 개당 미화 100~400달러 사이로 분석됐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통신은 북한 당국이 스마트폰에 자체 개발한 감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주민들을 사찰한다면서 북한 당국은 자체 제작한 지도, 카메라 등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며, 북한 당국이 승인한 것 외에 다른 것을 설치하려 하면 경고 문구가 뜨거나, 이용자가 불법 또는 미승인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당국에 적발된다고 지적했다.
박희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cklond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