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한 2020년 연말의 미대선 결과와 그에 따른 미중 무역갈등의 확산 여부도 향후 세계 경제에 중요한 변수로 부상할 것이며, 우리나라도 2022년 초 대선을 앞둔 마지막 해로서 변환점의 한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로 촉발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한 논의와 무역분쟁의 결과로 강화되는 기술보호 등 보호무역 강화 움직임은 원천기술이 취약하고 수출기반으로 성장해온 국내 주력산업의 경쟁력 유지나 기업 생존을 위한 도전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공급망 재구축과 함께 기술 자립을 위한 대응전략 수립을 요구하고 있다.
2021년 정부 예산안에 편성된 정부 R&D 예산안은 총 27조2000억 원으로, 이는 추경 예산을 포함한 2020년 정부 R&D 예산 규모인 24조5000억 원 대비 11.2% 증가한 규모이며, 특히 코로나19로 촉발된 감염병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가 크게 증액됐고, 데이터 관련 일자리 창출과 비대면 산업 등 ‘디지털 뉴딜’과 녹색 인프라 구축 등을 골자로 하는 ‘그린뉴딜’을 지원하는 예산 역시 1조9200억 원으로 크게 증가하며, 포스트 코로나 이후의 경제 재건 계획인 한국형 뉴딜 실현을 지원하는 연구개발도 강화했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