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 없애고, e심 내장으로 5G 통신 장치 업그레이드 유도

애플은 지난 7일 아이폰 14 시리즈를 공개했다. 아이폰 14 시리즈는 6.1인치형(15.4㎝) 기본 모델과 6.7인치형(17.0㎝) 플러스, 고급 모델인 6.1인치형 프로와 6.7인치형 프로맥스로 구성됐다. 아이폰 14 시리즈는 업계의 예상과 달리 모두 지난해와 같은 가격으로 책정됐다. 기본 모델은 799달러부터, 플러스는 899달러, 프로는 999달러, 프로맥스는 1099달러로 시작한다.
미국 3대 이통사가 아이폰 14 무료 교환 판촉에 나선 이유는 5G (5세대 이동 통신) 시대를 맞아 아이폰 이용자가 5G 통신 장치를 업그레이드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전략 때문이라고 CNN 비즈니스가 전했다. 애플은 미국에서 아이폰 14 모델에 유심(USIM·범용가입자식별모듈)을 제거하고 e심(eSIM)만 제공한다. 애플은 통신사의 노력으로 아이폰 e심을 경험할 수 있고, 한 기기에 여러 e심을 저장할 수 있어 여러 요금제와 전화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내장형 디지털 심(SIM)인 e심은 스마트폰 생산 과정에서 칩이 내장돼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이동통신사들이 제공하는 QR코드를 촬영하면 e심에 해당 통신사의 프로파일을 내려받게 된다. 애플은 2020년 출시된 아이폰 12시리즈부터 e심을 제공해왔다.
아이폰 14의 4개 모델에는 모두 충돌 감지 기능과 위성을 통한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이 처음으로 탑재됐다. 아이폰 14 기본과 플러스 모델에는 아이폰 13 프로 모델에 들어갔던 'A15 바이오칩'이 탑재됐지만, 프로 모델에는 진일보한 신형 칩 'A16 바이오닉'이 장착됐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