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2월과 3월에 각각 0.25%P 올린 뒤 금리 인상 중단 예상

연준은 지난해에 4번 연속으로 기준 금리를 0.75% 포인트 올렸다가 12월에 이를 0.5% 포인트로 낮췄고, 올해 들어 처음으로 1월 31~2월 1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다시 인상 폭을 0.25% 포인트로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WSJ이 전했다. 연준은 1980년대 초 이후 가장 급속한 속도로 금리를 계속 올렸다. 지난해에만 금리가 4.25% 포인트 인상돼 지난해 3월 0~0.25%였던 기준 금리가 현재 4.25~4.5%로 조정됐다. 연준이 1월 31~2월 1일 열리는 FOMC 회의에서 금리를 0.25% 포인트 올리면 4.5~4.75%가 된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공개한 점도표를 통해 ‘최종 금리’(terminal rate)가 5~5.25%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최종 금리에 도달하려면 연준이 오는 2월 1일에 금리를 0.25% 올린 뒤 한 번 더 0.25% 포인트를 올려야 한다. 연준이 2월 1일에 이어 3월 21~22일에 열리는 FOMC에서 마지막으로 금리를 0.25% 포인트 올려 최종 금리 예상치 5~5.25%에 이르면 더는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으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그룹의 페드워치가 예상했다고 WSJ이 전했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기준 금리 선물시장의 투자자들은 2월 1일 0.25%포인트 인상 확률을 99% 이상으로 보고 있다.
연준 내 대표적인 매파로 알려진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도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공개 지지했다. 월러 이사는 20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미국외교협회(CFR) 행사 연설을 통해 “현재 데이터에 근거할 때 앞으로 난기류가 별로 없어 보여 지금으로서는 25bp(0.25%포인트, 1bp=0.01%포인트)를 선호한다”고 말했다. 월러 이사는 “우리가 진전을 이뤘으나 2% 물가상승률 목표로 향하는 상당히 먼 길이 있다”면서 “나는 통화정책의 긴축 지속을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6.5%로 내려간 데 이어 생산자물가지수(PPI)가 6.2%로 급락했다. 또한 미국에서 지난 연말 최대 쇼핑 기간에 소매 판매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노동부는 지난해 12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보다 6.2%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11월 상승 폭(7.3%)에서 1%포인트 이상 낮아진 것이고, 최근 9개월 사이 최저 수준이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매 판매가 전월보다 1.1% 감소했다. 미국의 소매 판매는 두 달 연속 1%대로 급감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