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호주 총리, 주말 중국 국빈 방문…양국 관계 해빙 모드 전환점

글로벌이코노믹

호주 총리, 주말 중국 국빈 방문…양국 관계 해빙 모드 전환점

호주 총리 앤서니 앨버니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호주 총리 앤서니 앨버니지. 사진=로이터
호주의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가 이번 주말 중국을 국빈 방문한다.

최근 몇 년 사이 무역에서 안보에 이르기까지 급속히 악화된 양국 관계의 극적인 전환점이 될지 주목할 부분이다.

중국 정부가 호주산 상품에 관세와 제재를 부과하고, 호주 국민을 구금하는 등 양국 관계는 50년 만에 최악에 이르렀다. 호주 역시 중국의 정치적 영향력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발원지에 대한 조사를 촉구했다.

이번 노동당 출신의 총리 국빈 방문은 긴장된 양국 무역 관계에 따른 기업의 피로감과 전임 총리의 적대적인 입장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으로 최근 양국이 화해 모드로 바뀌고 있다.
이런 화해 모드 속에 앨버니지 총리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에 맞서 미국과의 더욱 긴밀한 안보 관계 구축을 이어오고 있지만, 호주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 중국과 관계 개선의 필요성 또한 무시할 수 없는 딜레마에 빠져 있다.

아시아 사회정책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인 리처드 모드는 양국 간 급속한 해빙은 몇 년 전의 매우, 매우 깊은 바닥으로부터 놀라운 역전을 의미하지만 호주와 미국의 협력을 약화시키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에 대한 호주의 입장과 힘의 균형을 추구하는 데 있어 호주의 역할에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호주 총리로서는 2016년 맬컴 턴불 총리 이후 처음인 앨버니지 총리의 중국 방문은 지난달 미국 워싱턴 방문에 이어 나온 것이다.

당시 미국 고위 관리들을 대상으로 한 연설에서 앨버니지 총리는 호주가 중국과의 관계에 대해 '명확한 눈'을 가져야 한다고 말하면서 그의 정부의 '인내심 있고, 치밀하고 계획적인' 접근법을 강조한 바 있다.

앨버니지 총리의 역할은 중국 그리고 미국과의 관계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될 전망이다.

즉,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 압박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면서 차세대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를 가하는 상황에서 핵추진 잠수함 기술에 접근을 허용하는 오커스(Aukus) 동맹 등을 통해 아시아 안보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하는 점이다.

잦은 세계 순방 일정으로 호주 언론으로부터 '에어버스 앨보'로 불리는 앨버니지 총리는 4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무역박람회를 시작으로 사흘간의 국빈 방문 일정에 돌입한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그런 만남은 거의 상상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호주 정부는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에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중국 화웨이의 5G 네트워크 가입을 금지하며 국내 정치에서 중국의 영향력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면서 양국 간 갈등이 증폭됐다.

알바니아계 보수 성향의 스콧 모리슨 전 총리가 우한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에 대해 '살상무기 검증 조사' 방식의 독자적인 조사를 촉구해 중국 정부의 거센 반발을 사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이에 호주 경제를 겨냥해 와인·석탄·바닷가재·보리 등 약 200억 호주달러(약 130억원)어치의 상품에 대해 무역 제재와 관세를 부과하는 등 보복 조치를 내렸다.

호주 정부는 협박 행위라고 비난해온 중국군과 호주군 사이의 군사적 충돌 위기도 더욱 주기적으로 발생했다.

모리슨 전 총리는 중국의 초강대국 역할에 대해 "독재주의의 호(arc)"라고 비난하기도 했고, 이후 그의 전략은 중국을 자극하기보다는 저항하는 쪽으로 바뀌었다.

지난해 5월 당선 이후 앨버니지 행정부는 여전히 호주 수출액의 4분의 1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 적대적 행동에 대해서는 단호한 입장을 취하면서도 비판적인 언사는 자제하는 등 보다 균형 잡힌 외교를 추구해 왔다.

지난해 11월 인도네시아 G20 정상회의와 별도로 시진핑 주석과 만남을 가졌고, 한 달 뒤에는 페니 웡(Penny Wong) 호주 외무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베이징에서 양자 회담을 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호주가 대체 시장을 찾는 등 중국의 경제적 강요가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앨버니지 총리의 중국과의 가교 구축은 호주산 와인 수입 제재 해제, 호주산 석탄 수입 허용 등 보상으로 이어졌다.

또한 지난달에도 3년 넘게 억류돼 있던 호주 기자 청레이를 석방했다.

호주 정부 역시 국가 안보에 대한 위험성 검토를 거쳐 호주 북부 다윈항에 대한 중국 기업의 임대 계약을 취소하지 않기로 결정했으며, 중국 풍력발전 터빈 수입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해제할 예정이라고 밝히자 중국 정부에서 환영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샤오첸 호주 주재 중국대사는 지난달 아시아 소사이어티 멜버른 행사에서 양국이 상호 이해의 시대에 접어들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번 호주 총리의 국빈 방문으로 양국 간 관계에 파란불이 켜지고 있음은 더욱 분명해졌다.


이진충 글로벌이코노믹 국제경제 수석저널리스트 jin2000k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