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일, 반도체·EV전지 공급망 강화 협력…경제판 2+2 합의

글로벌이코노믹

미·일, 반도체·EV전지 공급망 강화 협력…경제판 2+2 합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사진=로이터
미·일 양국 정부가 반도체와 전기자동차(EV) 전지 등 중요 물자 공급망 강화를 위해 연계할 구체적 방안을 검토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국 이익을 우선시하는 중국이나 러시아를 염두에 두고, 양국이 투명성 높은 공급망을 구축해 연합을 구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요미우리 신문 등 외신은 14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외무·경제 각료들로 구성된 ‘미일 경제 정책 협의 위원회’(경제판 2+2)에서 공개된 내용에서 일본 우에카와 외상과 니시무라 경제 산업상이 미국 측 실무자와 접촉하고 물자 공급망 강화를 논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중요 물자에 관한 보조금이나 세제 혜택 등 양국이 제휴해서 실시할 수 있는 지원책들을 협의할 방침이다.

중요 물자의 생산·조달과 관련된 기업의 신뢰성, 제조 과정에서의 투자 인력이나 환경 기준 등이 논의될 전망이다.
한편, 미·일 양국이 합의한 2+2 공동성명 원안도 공개됐다. 이에 따르면, ‘투명하고 강하며 지속 가능한 공급망의 구축’을 기본적인 목표로, 자유 경쟁이 보증되지 않는 비시장적인 정책이나 관행에 대항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적시되어 있다. 또 무역으로 타국에 압력을 가하는 경제적 위협의 대책 등도 포함을 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중국과 러시아를 다분히 경계한 내용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인공지능(AI)의 적정한 이용과 관리를 위해 양국의 지침과 방침 등을 비교·분석하고 운용 방식 등을 함께 논의하며 AI의 개발에 불가결한 최첨단 반도체의 보급 협력도 목표로 한다.

여기에 더해서 에너지 분야에서는 러시아의 에너지 의존을 줄이며 원자력 발전소와 비교해 안전성이 높다고 여겨지는 소형 모듈로 등의 개발이나 건설을 진행시킬 방침도 세우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