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인 투자자 보유 비중이 14.5%로, 은행 등 일본 국내 투자자 비중의 13.1%를 웃돌았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엔화 약세에 따른 낮은 조달 비용에 매수매도가 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일부에서는 금리 상승과 이자 비용 증가와 같은 재정적 리스크를 지적하고 있다.
일본 은행들의 일본 국채 보유 비중이 점점 더 줄면서 15년 전의 50% 턱밑까지 차지하던 비중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반면 일본중앙은행은 이런 추세에도 일본 국채 매입을 대규모로 늘려왔다. 일본중앙은행은 통화정책 완화를 시작한 2013년 이후 연간 50조엔, 2014년 10월 이후 연간 80조 엔의 속도로 일본 국채를 매집해 왔다.
이는 대량 국채 매입을 통해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면 일본 민간은행을 필두로 일본 국채 투자자들은 반대로 일본중앙은행의 국채 매입에 대응해 보유 비중을 축소해 왔다.
일본 재무성에 따르면 올 3월 말 단기 국채 등 일본 정부 채권은 1229조 7563억 엔으로 이 중 178조 4250억 엔을 외국인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 국내 은행, 증권투자신탁, 증권사 등이 보유한 총액인 161조 3931억 엔을 넘어섰다.
이처럼 해외투자자의 비중은 지난 15년여 사이에 2배로 증가했는데, 일본중앙은행의 규제 완화 직후인 2013년에는 8%대에 머물다가 2015년 12월 말까지 10%를 넘어섰다.
저금리와 엔화 가치 하락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외국인 투자자에게 유리한 투자 환경이 지속돼 왔다. 달러를 엔화로 교환하는 비용이 감소함에 따라 외환 헤지와 결합해 달러 표시 국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전체 국채 거래량 규모에서도 외국인 투자자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2018년에는 10%대였으나 현재는 약 30%대로 상승했다. 장기금리가 일본중앙은행의 상단에 근접했던 2022년 여름, 해외 국채 발행이 시장에 금리 인상 압력을 높였다.
사노 가즈히코 동해도쿄증권 수석채권전략가는 "일본중앙은행의 지속적인 대규모 국채 매입으로 일본 은행 등 국내 투자자 및 외국인 투자자 비중을 역전시켰다"고 지적했다.
즉 일본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왜곡은 국채 보유의 구조까지 바꾸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 비중이 단기 국고채만 67%로 눈에 띄게 높다. 장기금리 상승에 따라 미국 국채 보유를 늘리려는 움직임이 있는 반면, 환 헤지를 활용한 일본 단기·중기 채권 해외투자의 묘미는 사라지지 않고 있다.
분기별 발표되는 일본중앙은행의 자금순환 통계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이미 2021년 9월 말 국내 일본 은행들과 일본중앙은행을 합친 예금취급기관의 보유 비율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일본 재무성의 집계 방식은 일본중앙은행과 달리 증권투자신탁과 정부 산하 금융기관 등으로 은행 범위를 넓힌 점이 특징이다.
노무라증권의 니시카와 마사히로 수석 재무분석가는 재무성 집계에서 외국인 투자자 비중이 국내 투자자 비중을 넘어서자 "일본 국채가 더 이상 저금리로 '안정적' 등급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일본 재무성 재정제도 협의회는 해외 투자자 증가를 경계하며 지난 5월 "시장 신뢰 확보의 중요성을 더욱 인식하고 건전한 재정 운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 재무성은 영국의 사례를 기억한다. 2022년 영국 트러스 총리 당시 재정 운용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금리가 급등하는 '트러스 쇼크'가 발생했던 적이 있다.
일본은 G7 국가 중 GDP 대비 부채 비율이 가장 높고, 금리 상승에도 취약하다.
일본 재무성은 10년물 국채 예상 금리가 1.6%라면 2016회계연도 국채 원리금 지급에 필요한 비용이 29조 8000억 엔, 1%로 오르면 33조 4000억 엔이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모리타 나가타로 전일본자산운용 수석전략가 겸 최고경영자(CEO)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동참하면서 유동성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라며 "국채 관리 정책을 담당하는 일본 재무성도 국채 보유자가 다양해지면 국채 시장이 안정될 것이라는 입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과의 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진충 글로벌이코노믹 국제경제 수석저널리스트 jin2000k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