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러시아발 불법 입국 사태' 파장, 유로존 전체로 확산

공유
0

[초점] '러시아발 불법 입국 사태' 파장, 유로존 전체로 확산

EU 집행위 “러시아, 부끄러운 짓 벌이고 있어”…에스토니아‧노르웨이도 강력 대응 방침

우르줄라 게르트루트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우르줄라 게르트루트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사진=로이터
러시아의 접경국가로 최근 중립국 지위를 포기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NATO)에 가입한 핀란드에 불법 입국자를 들여보내고 있다는 의혹에 제기된 가운데 핀란드가 강력 대응 방침을 밝힌데 이어 유럽연합(EU) 차원에서도 강도 높은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이 문제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은 새로운 러시아발 국제 분쟁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에스토니아와 노르웨이 등 일부 EU 회원국들도 핀란드에 이어 러시아발 불법 입국 사태에 대해 개별적으로 강하게 문제 제기를 하고 나서 향후 사태 추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러시아, 부끄러운 짓 벌이고 있어” 맹비난


18일(이하 현지시간) 러시아 일간 모스크바타임스에 따르면 EU는 전날 낸 성명을 통해 “러시아가 적법한 자격을 갖추지 못한 불법 이민자를 러시아에서 핀란드 국경을 통해 핀란드로 들여보내고 있는 것은 부끄러운 행위”라고 맹비난했다.

우르줄라 게르트루트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도 페테리 오르포 핀란드 총리와 통화에서 “러시아 불법 이민자를 악용해 나토에 가입한 핀란드에 대한 보복 조치의 일환으로, 그리고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에 가세해온 나라들을 압박할 의도로 부끄러운 짓을 벌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오프로 핀란드 총리는 지난 16일 가진 기자회견에서 “핀란드 사회를 불안하게 만들 목적으로 러시아가 불법 이민자들을 러시아 국경을 통해 들여보내고 있다”면서 “핀란드와 러시아의 국경에 설치돼 있는 9개 검문소 가운데 4곳을 18일부터 폐쇄키로 했다”고 예고한 바 있다.

핀란드 정부는 본래 하루 1명 미만 수준이었던 러시아에서 건너온 망명 신청자가 지난 9월부터 현재까지 280명에 달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들의 국적은 이라크, 예멘, 소말리아, 시리아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크리스천 위간드 EU 집행위 대변인도 이와 관련해 “러시아발 불법 입국 사태의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최근 들어 법적인 절차를 제대로 밟지 않은 망명 신청자들이 러시아 국경을 통해 핀란드로 들어오는 사례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은 우려할 만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러시아와 접한 에스토니아, 노르웨이도 불법 입국 사태에 강력 대응 방침


개별 EU 회원국 차원에서도 강력한 대응 방침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EU 강소국인 에스토니아의 라우리 라네메츠 내무부 장관은 지난 16일 “러시아가 의도적으로 불법 망명자들을 궁극적으로 핀란드에 대한 타격을 주기 위한 의도로 에스토니아와 접한 동부 서부 국경을 통해 의도적으로 들여보내고 있다”면서 “이는 우리에 대한 도발 행위이므로 강력 대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라네메츠 장관은 “러시아는 합법적인 비자나 거주 허가증 등 제대로 된 자격을 갖추지 않은 외국인들을 국경을 통해 들여보내면서 국경 검문소가 큰 홍역을 치르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다만 합법적인 자격을 갖추지 않은 입국 시도자들에 대해서는 전원 예외 없이 입국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에스토니아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자국에 있는 러시아 대사관 직원 21명을 추방한 바 있다.

국토의 동쪽 끝부분이 러시아와 접한 노르웨이도 러시아발 불법 입국 사태에 반발하고 나섰다.

에밀리 엥에르 멜 노르웨이 법무부 장관은 노르웨아 통신사 NTB와 가진 인터뷰에서 “러시아발 불법 입국 사태의 심각성에 러시아와 국경을 공유하고 있는 나라로서 우려를 표시한다”면서 “핀란드와 마찬가지로 러시아 국경 검문소를 폐쇄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가 언급한 러시아 국경 검문소는 현재 러시아와의 유일한 육지 국경 지점인 스토르스코그 지역의 검문소를 말한다.

멜 장관은 “아직 러시아발 불법 입국 시도가 동부 지역의 스토르스코그 검문소에서 확인된 적은 없다”면서 “그러나 향후 어떤 일이 발생할지 알 수 없으므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고 필요할 경우 검문소를 폐쇄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