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군 요코다 기지 내에서는 지난 2010년부터 8번의 거품소화제 누출 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2012년에는 고농도 PFAS가 포함된 거품소화제 원액 약 3000리터가 토양으로 누출된 바 있다.
도쿄신문이 입수한 미군 내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현재 기지 내 7개 시설의 저수조에 거품소화제가 섞인 오염수 140만 리터를 보관하고 있다. 이 오염수의 PFAS 농도는 1리터당 최대 18만 나노그램 이상으로, 검사 장비의 검출 상한치를 넘어섰다.
오염수의 처리 방법은 미군 측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있다. 입수한 자료에는 "소각이 유일한 수단이지만 미국 본국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고만 적혀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는 소각장에서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것 등이 문제가 되어 2020년부터 소각처분이 금지되어 있다. 일본 국내에도 소각시설이 있지만,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점 등으로 인해 미군 측에서는 구체적인 검토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미군 요코다 기지는 도쿄신문 취재에 "기지 시설과 환경의 관리자로서 관련 모든 합의, 의무, 절차를 계속 준수할 것"이라고만 답했다.
도쿄 다마 지역에서는 상수원의 우물에서 PFAS 오염이 확인되고 있다. 하라다 코지 교토대 부교수(환경위생학)는 "누출사고가 발생하면 토양에 스며들어 지하수가 되어 다마 지역의 오염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오염수 처리를 둘러싸고 새로운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 방법이 미군 내에서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주일미군 시설에서는 내년 9월까지 PFAS가 거의 포함되지 않은 거품소화제나 물소화설비로 전환을 완료할 방침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관 중인 오염수의 처리 방법은 미정인 상태다. 미군 측이 제2의 후텐마 사태를 초래하지 않도록 신중하고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