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1000만달러 육박' 고급 시계, 지속적 성장…주요 기업의 전략은

글로벌이코노믹

'1000만달러 육박' 고급 시계, 지속적 성장…주요 기업의 전략은

파텍 필립 3527G-001 모델. 사진=파텍 필립 갈무리이미지 확대보기
파텍 필립 3527G-001 모델. 사진=파텍 필립 갈무리
글로벌 고급 시계 시장은 전 세계적인 트렌드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엑스퍼트 마켓 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세계 명품 시계 시장 규모는 약 478억3000만달러에 달하며, 2024~2032년 연평균 4.90%씩 성장하여 2032년에는 736억200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고급 시계 시장 성장 촉진 요인은 다양하다. 구매력 있는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가 고급 기계식 시계에 관심이 많고, 여성용 시장도 급성장했다. 여성들은 독립성과 자율성을 표현하기 위해 고급 시계를 구매하고 있으며, 전체 시장의 약 3분의 1에 불과하지만, 구매력 증가와 소셜 미디어 영향력 확대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또한, 시계 수집가와 슈퍼 부자들이 최고 품질과 장인 정신을 갖춘 시계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온라인 판매 증가도 시장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의 발달과 편리함으로 이 부문을 통한 시계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시장 성장과 함께, 고급 시계 브랜드들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크로노24에 따르면, 가장 비싼 시계 브랜드 TOP5는 파텍 필립, 리처드 밀, 제니스, 오데마스 피게, 롤렉스다.
파텍 필립은 가장 비싼 시계 3종의 평균 가격이 867만 달러로, 세계 최고 명품 시계 브랜드로 꼽히며, 파텍 필립 그랜드마스터 차임은 9백만 달러로 가장 비싼 모델이다.

리처드 밀은 최고가 3종의 평균 가격이 478만 달러이며, 최고가는 560만 달러다. 제니스는 최고가 3종의 평균 가격이 343만 달러로, 크로노마스터 스포츠는 거의 1000만 달러의 가격의 최고가다.

오데마스 피게는 최고가 3종의 평균 가격이 163만 달러, 롤렉스는 최고가 3종의 평균 가격은 117만 달러다.

이들 브랜드는 기술력과 디자인, 역사와 유산을 바탕으로 최고 명성을 구가하고 있으며, 고가 시계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글로벌 고급 시계 시장에서 점유율 TOP5 기업은 1위 롤렉스(11.8%), 2위 리치몬트(15.7%), 3위 스와치그룹(18.3%), 4위 포실(5.2%), 5위 LVMH (4.7%)이다.

이런 가운데 세계 최대의 명품 그룹 LVMH가 고급 시계 산업에 도전장을 던졌다.

LVMH는 2023년 862억 유로의 매출로, 2022년 대비 13%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시가총액은 약 4400억 유로로, 세계 최대 기업 중 하나다. LVMH 소유자는 베르나르 아르노는 세계 최고 부자에 오르기도 했다. 가족 경영 기업으로 LVMH 시계 사업부는 넷째 아들인 프레데릭 아르노가 맡고 있다. 그는 걸그룹 블랙핑크 멤버 리사와 열애설이 났던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LVMH는 시계 사업부를 신설하고 고가 모델 공략에 나섰다. 시장 성장성을 본 것이다. LVMH는 보석 및 시계 부문에서 2023년 118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시계 부문은 전체 매출의 약 10%로 확대하려고 한다.

또한, 시계 확장을 통해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강화할 전략이다. 패션, 보석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럭셔리 브랜드 이미지 보강과 신규 고객층 확보도 노리고 있다. 이미 태그호이어, 위블로, 제니스 등의 브랜드로 고급 시계 시장의 다양한 영역과 고객을 공략하고 있다.

LVMH의 시장 진출 강화는 글로벌 고급 시장 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첫째, 자본력과 브랜드 인지도는 시장 경쟁을 심화시킬 수 있다. 둘째, LVMH는 고가 시계 모델 공략에 집중하고 있어, 전체 시장의 고급화를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혁신적인 디자인과 기술 개발에 투자할 것으로 예상되어, 시장 전체의 혁신을 촉진할 것이다. 넷째, 온라인 판매 채널 확대에 투자할 것으로 예상되어, 온라인 시계 시장 성장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LVMH가 직면한 과제는 경쟁 기업과의 차별화다. LVMH는 스위스 기업 그룹 등 기존 시장 지배 기업들과 치열한 경쟁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뛰어난 품질과 디자인을 갖춘 제품을 개발하고,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고, 고객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시계 시장에 기존 시계 브랜드만큼 높은 브랜드 인지도가 없어,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강력한 마케팅 및 브랜드 홍보 전략도 구사해야 한다.

한편, 한국의 고급 시계 시장도 세계적인 트렌드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다. 삼정KPMG가 2022년 5월 25일 공개한 ‘럭셔리 시장을 이끄는 뉴럭셔리 비즈니스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한국의 명품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9.6% 급증한 58억달러(약 7조3000억원)에 달했으며, 2023년에는 70억달러(약 8조8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이는 세계 10위권에 해당한다. 보복 소비, 투자 가치, 온라인 거래 등의 요인에 기인한다. 한국 고급 시계 시장은 LVMH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으며, 한국 고급 시계 브랜드들도 세계적인 인지도와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