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中국유기업 해외 자금 회수·자국 주식 매입하나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中국유기업 해외 자금 회수·자국 주식 매입하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연합뉴스
중국 지도부가 자국 주식 시장 부양을 위해 기업의 강제적 자금 동원을 지시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거듭 하락 중인 증시 부양책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지난 2015년 중국증시 폭락 당시의 과오가 다시 되풀이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9일 포브스는 중국 금융 당국이 국유기업의 해외 보유 자금을 회수, 자국 주식 매입에 사용하도록 명령했다고 보도했다.

지난주 주식시장 부양책으로 발표된 2조 위안(약 370조원) 자금 출처가 바로 이것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 경제가 가지고 있는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은 채 진행되는 공산주의 정권의 강제적 경제 동원 조치는 2015년에 이어 다시금 실패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상하이종합지수는 지난 3년간 21% 이상 하락했다. 이에 따라 시가총액도 줄어들고 있다. 주식의 투자 가치 판단 기준인 주가수익률은 지난 10년간 평균 12.5배를 훨씬 밑도는 10.4배까지 떨어졌다. 중국 금융 당국이 시장에 대규모 부양책을 동원한다는 소식에 주요 주가지수가 3일 만에 5% 가까이 상승했지만, 이후 다시 하락세로 돌아서며 2021년 고점을 크게 밑돌고 있다.

이에 대해 포브스는 지난 2015~2016년 이어진 중국증시 대폭락 상황을 연상시킨다고 분석했다.

당시 리커창 당시 총리는 유럽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후 중국 정부는 안정화기금 설치를 발표했고, 인민은행은 정부계 투자기관에 충분한 자금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으며, 금융계가 시장 지원을 위해 동원됐다.

블룸버그는 “리커창 총리와 허룽펑 부총리, 판공성 인민은행 총재의 대응은 장기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라고 지적했다. 당국이 진행한 방법은 관영언론을 통한 주식시장 개입 유도였다. 하지만 서킷브레이커까지 발동시키는 등 강제적인 주가 하락을 막기 위해 노력했지만 버블만 키운 결과로 개인 투자자들까지 막대한 피해를 보게 됐다.

밀튼 에즈라티(Milton Ezrati) 금융 커뮤니케이션 기관 베스티드(Vested)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조치 또한 2015년과 같은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경제와 금융이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주식 매입 조치는 영구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내다봤다.

더욱이 루머가 사실이라면 중국 발행주식 총액의 약 8%에 해당되는 금액이기 때문에 버블 우려까지 나오기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밀튼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이 2015년 이런 무모한 전략을 취했을 때, 주식 매입 조치가 끝나기도 전에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했다”라며 “만약 이런 강제적 대규모 자금이 투자될 경우 공개매입으로 주가가 상승하면 많은 투자자들이 차익을 노리고 매수에 나설 것이며, 이에 편승한 투자자들도 타격을 입게 될 수 있다”라고 전했다.

또 이번 조치가 진행될 경우 외국 자본과 기업이 중국 시장에 투자를 기피한 이유를 더 강화시킬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시진핑 정부가 민간 기업에 과도하게 개입하는 중앙집권적 통제에 대한 집착으로 외국 투자가 부진한 가운데, 이에 대한 개선 없이 과거 똑같은 우려를 범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서 국유기업들의 해외 사업 경쟁력 약화까지도 우려된다.

유라시아 그룹 애널리스트는 보고서에서 "이번 인사는 경제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행정 관리 강화에 정치적인 움직임이 개입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는 도움이 되기는커녕 "불안을 심어주고 신뢰를 잃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블록 실버스 매니징 디렉터는 "시장 개입은 근본적인 요인을 해결하지 않는 한 장기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최근 정책은 모두 질병 자체가 아니라 증상에 대응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