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여기는 워싱턴] 美 워싱턴DC 등 15개 도시, 연소득 2억원이면 '중하층'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3

[여기는 워싱턴] 美 워싱턴DC 등 15개 도시, 연소득 2억원이면 '중하층'

팬데믹 이후 주거비와 생활비 폭등, 카드빚 연체율도 급증

미국 워싱턴DC를 비롯한 15개 도시는 연 소득 2억원이면 '중하층' 생활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워크 워싱턴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워싱턴DC를 비롯한 15개 도시는 연 소득 2억원이면 '중하층' 생활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워크 워싱턴
미국에서 연 소득이 15만 달러(약 2억원)에 달해도 주거비와 생활비 상승 등으로 인해 ‘중하층(lower middle class)으로 분류되는 도시가 15개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폭스비즈니스뉴스는 25일(현지 시간) 나스닥이 운영하는 금융교육 매체인 고뱅킹레이츠(GOBankingRates)의 분석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그 대표적인 도시는 워싱턴DC, 샌프란시스코, 새너제이, 어바인(이상 캘리포니아주), 시애틀(워싱턴주), 알링턴(버지니아주), 길버트, 챈들러, 스콧스데일(이상 애리조나주), 플래노(텍사스주) 등이다.

고뱅킹레이츠는 “미국의 15개 도시에서는 연 15만 달러 이상을 벌어야 겨우 중하층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이곳에서는 주거비, 자녀 보육비, 교통비 등이 다른 도시에 비해 월등히 많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 기관은 주거비와 부동산 가격이 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폭스비즈니스는 최근 미국에서 중산층으로 분류되려면 주 40시간을 일하면서 연봉이 12만 달러를 넘겨야 한다고 보도했다. 미국에서 몇 년 전까지는 연간 6만~7만 달러 정도를 벌면 주택을 사들일 수 있었으나 지금은 사정이 완전히 달라졌다고 이 매체가 지적했다. 올해 미국에서 주택의 평균 가격은 40만~42만 달러에 달연간 12만 달러 정도 벌어야 주택 관련 비용을 연 소득의 30~40%에서 관리할 수 있다고 폭스비즈니스가 전했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미국 중간 가격 주택 구매에 필요한 최소 연 소득은 10만5000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미국의 중위 연 소득 9만9000달러를 웃도는 수치다. 이는 곧 미국인 절반 이상 집을 사기 어렵다는 뜻이다. 지난해 11월 기준 미국의 기존 단독주택 가격 중간값은 39만2100달러로 2020년 초에 비해 50% 올랐다.
주택 월세도 치솟고 있다. 무디스 애널리틱스 조사에 따르면 미국 전역의 평균 소득 대비 월세 비율(RTI)은 2022년에 처음으로 30%를 넘었고, 그 이후 내려가지 않고 있다. 특히 뉴욕(64%)과 마이애미(42%), 로스앤젤레스(34%) 등의 월세 부담은 더욱 컸다.

미국에서 고금리 사태 장기화로 주택 소유자들은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상환금이 올라 고통을 받고 있다. 주택 가치를 측정하는 대표적 지표인 S&P 코어로직의 케이스·실러 미국 전국주택가격(NSA)지수에 따르면 팬데믹 직전인 2020년 1월 이후 현재까지 주택담보대출 상환금이 47% 증가했다. 또 가계 소득의 30% 이상을 월세로 내는 사람의 비율이 사상 최고치인 41%에 달했다. 팬데믹 이전과 비교하면 3.2%포인트가 올라갔다.

하버드주택연구공동센터는 최근 연례보고서를 통해 지난 2022년 기준 소득의 30% 이상을 임대료와 공공요금 등 주택 비용으로 지출한 임차인의 수가 2240만 명에 달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밝혔다. 노숙인도 2022년에 12%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미국의 카드 빚 연체율 크게 상승했다. 미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최근 발표한 2023년 4분기(10∼12월) 가계 부채 및 신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미국의 신용카드 연체율(90일 이상 연체 전환 기준)은 6.36%로 1년 전보다 2.35%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금융위기 직후였던 2011년 2분기(6.9%) 이후 1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18∼29세 청년층의 카드 연체율이 9.65%로 가장 높았고, 30대의 연체율도 8.73%로 높았다. 지난해 4분기 미국 가계의 전체 신용카드 부채는 1조1290억 달러(약 1500조원)로 1년 전보다 1430억 달러(약 190조원) 늘어났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