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가 6월부터 시행하려던 구리 정광(불순물을 제거한 구리 광석) 등의 수출 금지령 시행을 내년으로 연기했다.
지난달 31일(현지 시각) 블룸버그는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의 발표를 인용, 구리 정광을 비롯해 철과 납, 아연 등 광물 수출을 내년부터 금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도네시아는 자국이 보유한 풍부한 광물 자원들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원자재 대신 가공품 산업을 육성한다는 방침으로 주요 광물 자원들의 수출을 통제하고 있다. 당초 계획으로는 이날부터 이들 광물들의 수출을 금지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영향으로 대규모 구리 제련소 건설이 지연되면서 올해 5월 말까지 구리 수출 금지를 한 차례 연기한 바 있다. 이어 새로운 제련소의 가동이 아직 정상 궤도에 오르지 못하자 수출 금지 방침을 올해 말까지 추가로 연장한 것이다.
인도네시아가 구리 수출 통제를 연기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공급 부족으로 급등하던 구리 가격의 상승세에도 한풀 꺾일 전망이다.
2022년 기준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 6위 구리 생산국으로, 전 세계 점유율은 4% 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세계 최대 구리 생산지였던 파나마의 주요 구리 광산이 폐쇄되고 있는 데다, 중국이 구리 제련 처리 용량을 대거 늘리고 주괴 등 완제품 형태로의 공급량을 늘리면서 세계 각국의 구리 제련소들은 원자재인 구리 정광 공급 부족에 직면한 상황이다.
블룸버그는 “인도네시아가 구리 수출을 중단했다면 글로벌 구리 공급망이 큰 타격을 입었을 것”이라며 “이번 연기 조치는 전 세계 제련 업계가 한숨을 돌리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평했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