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해리스 부통령을 미 민주 대선후보로 공식 지지

22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바이든이 해리스 부통령을 미국 민주 대선후보로 공식 지지한데 대해 바이든 보다 오히려 더 유리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뉴욕증시 비트코인은 계속되는 워싱턴 정가의 불안으로 연일 요동치고 있다. 뉴욕증시뿐 아니라 달러환율 국채금리 금값 국제유가 그리고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가상 암호화폐도 흔들리고 있다. 대선후보직 사퇴 의사를 전격 표명한 조 바이든 대통령의 공개 지지로 카멀라 해리스(59) 부통령이 바통을 이어받아 오는 11월5일 미국 대선에서 바이든의 '대타'로 구원등판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
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될 경우 해리스 부통령은 미국의 최초 흑인·아시아계 부통령이자 여성 부통령 타이틀에 이어 미국 역사상 첫 여성 대통령이자 첫 아시아계 대통령이라는 새로운 기록에 다시 도전하게 된다. 권을 거머쥘 경우 첫 흑인 여성 대통령이자 흑인으로서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에 이어 두번째가 된다. 후보 확정시 미국에서 유색인종 여성으로는 최초로 대통령 후보가 되는 해리스 부통령은 그동안 백인과 남성이 주류였던 미국 사회에서 유리천장을 깨고 '최초'의 역사를 써오며 이인자 자리까지 올랐다.
흑인이자 인도계라는 정체성을 지닌 해리스는 어린 시절부터 겪은 보이지 않는 차별을 딛고 달려온 끝에 바이든 대통령의 후보직 사퇴라는 급변 사태를 만나 세계 최강국인 미국의 대권이라는 새로운 도전의 문 앞에 서게 됐다.대선이 4개월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서 갑작스레 구원등판하게 되는 셈이어서 남은 기간 유세장 피격 후 대세론을 굳히고 있는 맞대결 상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대비 본선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게 최대 과제다.
부모가 이혼한 뒤 해리스 부통령은 12세 때 어머니를 따라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로 이주했다. 어머니는 그곳에서 대학 강사이자 병원 연구원으로 취직했다. 흑인 대학에 진학하길 원한 그가 선택한 곳은 워싱턴DC의 흑인 명문대학인 하워드대였다. 흑인 엘리트 학생들로 가득 찬 이곳에서 비로소 그는 자신의 정체성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그는 흑인 혼혈 혈통을 지녔다는 점에서 종종 '여자 오바마'로 불리기도 한다.
그는 2009년 인터뷰에서 어린 시절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로 어머니와 외조부를 꼽으며 "어머니는 인도인으로서의 자신의 유산을 매우 자랑스러워했고, 이것을 내게도 가르쳤다"고 말했다. 외조부는 인도에서 미국의 국무장관 격인 직책을 맡았던 고위 관료 출신이다. 해리스 부통령은 어린 시절 정기적으로 인도를 방문해 할아버지와 대화를 나눴다.
해리스 부통령은 하워드대에서 정치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뒤 캘리포니아대 로스쿨을 거쳐 변호사 자격시험을 통과하고 1990년 캘리포니아주 앨러미다 카운티의 지방 검사로 법조계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샌프란시스코 지방검찰청으로 옮겨 담당 사건에서 유죄 선고율을 끌어올리며 검사로서의 역량을 발휘했다. 2004년 흑인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샌프란시스코 지방검사장에 오른 데 이어 2011년에는 캘리포니아주 법무장관 겸 검찰총장으로 선출됐다.
재선을 거쳐 6년간 주 법무장관을 역임한 뒤 2017년에는 캘리포니아주를 대표하는 연방 상원의원에 도전해 선출되면서 중앙 정치 무대에 진출했다. 흑인 여성이 연방 상원의원이 된 것도 그가 처음이었다. 2020년에는 55세의 나이에 바이든 전 대통령의 러닝메이트로 부통령 후보에 낙점된 뒤 대선 승리로 백악관에 입성하면서 또다시 미국의 최초 흑인·아시아계 부통령이자 여성 부통령이라는 기록을 썼다.
해리스 부통령이 미 유권자들에게 처음 얼굴을 각인시킨 것은 2019년 민주당 대선 경선 출마 당시 TV 토론에 나오면서였다. 당시만 해도 20여 명의 후보가 난립하고 바이든은 물론 버니 샌더스,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 등 쟁쟁한 후보들이 포진해 해리스의 존재감은 미미했으나, 그해 6월 첫 TV 토론에서 송곳 같은 질의로 바이든 당시 후보를 몰아붙이면서 강한 인상을 남겼다.
해리스 부통령은 부통령 재직시 이렇다 할 존재감을 보이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대결에서 밀리는 것으로 나타나 바이든 후보 사퇴론이 제기된 이후 그동안 당내에서 해리스 대안론에 대해 의견이 모이지 못한 상태였다.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해 1월 익명의 민주당 의원 십여명이 "해리스 부통령이 재선에 도전할만한 힘과 카리스마, 정치적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할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고 보도한 바 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주필/ 경제학 박사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