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500억 달러 운용 투자회사 임팩스 CEO “엔비디아, 여전히 저평가”

글로벌이코노믹

500억 달러 운용 투자회사 임팩스 CEO “엔비디아, 여전히 저평가”

자산 규모 500억 달러를 운용하는 임팩스의 CEO가 엔비디아 주가가 여전히 저평가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자산 규모 500억 달러를 운용하는 임팩스의 CEO가 엔비디아 주가가 여전히 저평가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로이터
자산 규모 500억 달러(약 67조 원)를 운영하는 임팩스 자산운용은 엔비디아 주식을 은밀하게 추가 매수할 기회를 노리고 있다.

9일(이하 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런던 기반의 임팩스 CEO 겸 창립자 이안 심은 몇 년 전 엔비디아 주식을 놓친 것이 잘못된 판단이었다고 판단하고, 다시 기회를 잡을 방법을 찾고 있다. 엔비디아는 2023년 초부터 무려 800%의 상승을 기록했다.

심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서 "우리는 그들의 제품 시장 잠재력을 과소평가했었다" 라고 말했다. 임팩스는 이후 매수 기회를 찾고 있었으나, 엔비디아의 주식이 “비싸다”고 느꼈다.

올해 초 엔비디아는 일시적 주가 하락으로 인해 시가총액이 최고점에서 약 1조 달러 하락했다. 그 후 상당 부분 회복되었지만, 심은 회사의 현재 시가총액인 3.2조 달러가 실제 가치를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1998년에 설립된 임팩스는 더 지속 가능한 경제로의 전환에 집중하는 자산운용사로 유명해졌다. 심은 그 목표가 고객에게 수익을 창출하는 것과 양립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몇 년간 금리 상승, 에너지 위기, 그리고 이른바 '매그니피센트 세븐'의 부상으로 인해 친환경 투자에 대한 매력이 떨어졌다. 임팩스의 주가는 올해 거의 30% 하락했으며, S&P 글로벌 클린 에너지 지수도 10% 이상 하락했다. 반면, S&P 500 지수는 같은 기간 20% 이상 상승했다.

이번 주 초, 임팩스는 9월 30일로 마감된 회계연도 동안 상장 주식에서 53억 파운드(약 9조2998억 원)의 수익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동안 58억 파운드의 순유출을 겪었다.

심은 임팩스가 최근 몇 년간의 경험에서 배우고 있으며, 더 큰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저평가된 빅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솔직히 말해, 우리는 지난 몇 년 동안 주요 전략에서 성장 가치형 투자에 집중하다 보니 메가캡 테크 투자에서 나오는 모멘텀과 과대광고를 피하면서 부진한 성과를 냈다.” 라고 밝혔다.

엔비디아의 주가가 지난 6월 하락하자, 임팩스는 1분기 말 140만 주에서 6월 말까지 490만 주로 보유 주식을 세 배 이상 늘렸다.

심은 인공지능(AI)의 급증이 엔비디아 칩에 대한 수요를 어떻게 이끌 것으로 예상하는지 감안할 때 여전히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엔비디아를 보유하는 것이 다른 기술 대기업처럼 성장을 위해 막대한 양의 에너지를 소비해야 하므로 기후 관점에서도 투자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성일만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exan509@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