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방글라데시, 부실채권 정리 '칼 빼들었다'…은행 결의안 준비

글로벌이코노믹

방글라데시, 부실채권 정리 '칼 빼들었다'…은행 결의안 준비

MF 권고 따라 부실채권 기준 강화…은행 건전성 강화 '총력'
정치적 압력 속 부실채권 규모 급증…은행 합병·청산 추진 '속도'
방글라데시 은행 총재 아산 H. 만수르는 4월에 부실채권의 기준이 강화되면 부실채권의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방글라데시 은행 총재 아산 H. 만수르는 4월에 부실채권의 기준이 강화되면 부실채권의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방글라데시가 은행 부문의 부실 대출 문제 해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국제통화기금(IMF)의 권고에 따라 부실채권 기준을 강화하고, 은행 결의안을 마련하여 부실 은행의 정리 및 합병을 추진하는 등 은행 건전성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12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방글라데시 은행은 오는 4월부터 바젤 III 기준에 따라 연체 대출 분류 기간을 현행 6개월에서 3개월로 단축할 예정이다. 이는 IMF의 47억 달러 대출 프로그램 조건에 따른 것으로, 방글라데시는 부실 대출을 대폭 줄여 은행 건전성을 강화하고 국가 경제를 안정화해야 한다.

지난해 9월에도 부실채권 분류 기간을 9개월에서 6개월로 단축하면서 부실채권 규모가 급증한 바 있다. 12월 기준 부실채권은 3조4500억 타카(284억 달러)로, 이는 전체 미지급 대출의 약 20%에 달하는 수치다.

방글라데시 은행 부문은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부실채권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과거에는 정치적 영향력이 큰 대출자들을 돕기 위해 부실채권이 은폐되기도 했다. 하지만 새로운 기준이 도입되면서 부실채권 규모가 급증하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전체 미지급 대출의 30%에 육박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부실 은행의 합병 및 청산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인수합병, 자본 재편, 브릿지 뱅크 설립, 임시 소유권 이전, 은행 청산 등을 규율하는 은행 결의안(Bank Resolution Act)을 마련하고 있다.

방글라데시 은행은 6개 은행의 자산 건전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다른 은행들에 대해서도 검토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후 은행 결의안에 따라 은행 부문 재편을 위한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

이번 은행 결의안은 은행의 중요 기능 연속성 제공, 예금자 보호, 공적 자금 보호, 채권자 손실 최소화 등을 목표로 한다. 방글라데시 은행은 "분류 기간 단축은 규제 당국이 문제 자산을 신속하게 인식하고 은행이 이를 면밀 감독하도록 도울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금융 시스템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