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가상 암호화폐 대규모 강제청산 돌입"

글로벌이코노믹

가상 암호화폐 대규모 강제청산 돌입"

트럼프 관세폭탄 " 비트코인· 리플 솔라나 이더리움 카르다노 강타 "
뉴욕증시 이미지 확대보기
뉴욕증시
가상 암호화폐 트럼프 관세 반토막 폭락주의보… 뉴욕증시 닥터둠 리플 비트코인 솔라나 "팔고 떠나라"

리플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솔라나 등 가상화폐를 서둘러 팔고 떠나라는 경고가 나왔다. 트럼프 관세폭탄 이 당분간 가상 암호화폐를 강타한다는 것이다. 극 뉴욕증시에서 닥터둠으류 유명한 루비니 교수의 가상화폐 폭락 경고이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loomberg Intelligence)의 선임 상품 전략가 마이크 맥글론(Mike McGlone)은 비트코인(BTC)이 장기적으로 가격에서 ‘0 하나를 잃을 수 있다’는 발언을 재차 강조했다. 이는 비트코인이 현재 가격에서 한 자릿수로 하락할 수 있다는 극단적인 하락 가능성을 암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뉴욕증시에 따르면 루비니 교수는 트럼프 상호관세폭탄으로 가상 암호화폐 폭락이 예상된다면서 "비트코인등을 멀리하라"고 말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미리 예견한 것으로 유명한 '닥터 둠' 누리엘 루비니 미국 뉴욕대 교수가 가상화폐 비트코인 투자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투자자들에게 조언했다. 루비니 교수는 비트코인을 "모든 거품의 어머니"(the mother of all bubbles)라고 지칭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루비니 교수는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의 관세 부과와 이민 통제 등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해 미국의 장기 국채 수익률을 더 높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루비니 교수는 "이전에 확산했던 모든 인플레이션 충격은 장기채 수익률이 더 높아질 것임을 암시한다"며 "인플레이션이 점점 높아지는 세상에서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주식 부분에서도 손실을 보고 채권 부분에서도 손실을 보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인플레이션이 높을 때 잘 작동하는 것들을 결합한 대안이 필요하다"며 미 국채 장기물과 단기물의 수익률 격차가 확대될 때 수익을 내는 '커브 스티프너'(curve steepener) 투자를 추천했다. 트럼프 관세 발표에 가상암호화폐에 매도 주의보가 내려졌다. 이더리움·PI·PEPE·솔라나 급락 가능성 경고들이 들어왔다. 트럼프 상호관세 폭탄 발표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 가상화폐에 비상이 결렸다. 관세폭탄으로 미국의 물가가 올라갈 가능성이 높고 인플레가 오면 그동안 금리인하를 추진해왔던 연준 FOMC가 금리인하를 중단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도 있어 금리인하를 호재로 받아들여왔던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 가상 암호화폐로서는 멘붕에 빠졌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게이프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4월 2일 ‘관세 발표(Liberation Day)’로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투자심리가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더리움(ETH), 파이네트워크(PI), 페페(PEPE), 솔라나(SOL)는 가격 하락에 취약한 종목으로 분류된다.
피터 시프(Peter Schiff)가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 스트래티지 최고경영자(CEO)를 향해 다시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시프는 자신의 X(옛 트위터)에서 세일러를 향해 “비트코인이 8만달러 아래로 떨어졌다”며 “스트래티지의 평균 매입 단가인 6만8천달러(약 9951만원)를 방어하려면 오늘 당장 빚을 내 추가 매수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프는 세일러의 비트코인 매수 전략을 꾸준히 비판해왔다. 최근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주가가 11% 하락했을 때도 이를 지적하며 조롱하는 발언을 내놨다. 맥글론은 나스닥지수(Nasdaq Composite)가 2000년 닷컴 버블 당시 5,000포인트에서 정점을 찍은 뒤 붕괴된 사례를 언급하며, 현재 비트코인의 거침없는 상승세와 유사한 위험 구조를 지적했다. 그는 특히 비트코인이 글로벌 금융위기(GFC) 이후 주식시장이 바닥을 찍고 회복될 무렵 등장한 자산이라는 점을 상기시켰다.

엑스알피(XRP)의 가격 상승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바이낸스(Binance) 거래자의 70% 이상이 XRP의 상승에 베팅하고 있으며, 일부 분석가는 추가 상승 가능성도 제기했다. 크립토 애널리스트 알리 마르티네즈(Ali Martinez)는 4시간 기준 XRP의 롱·숏 비율이 2.37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매수 포지션이 매도 포지션보다 두 배 이상 많다는 뜻이다. 전체 거래자의 70.33%가 롱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숏 포지션은 29.67%에 불과하다. 코인피디아는 매수 심리가 높아진 상황에서 가격이 예상과 다르게 움직일 경우 급격한 청산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코인글래스(Coinglass)는 최근 24시간 동안 XRP 청산 규모가 약 310만 달러에 달했다고 밝혔다. 롱 포지션 보유자는 173만 달러, 숏 포지션 보유자는 136만 달러를 청산당했다. 이는 양방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시장은 과도한 레버리지 사용이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특히 롱 포지션이 몰리는 현재 구간에서 가격이 하락할 경우 급격한 하방 압력이 나타날 수 있다.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미국 주식 시장이 폭락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에게 금리를 인하하라고 재차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글에서 "지금이 연준 의장 파월이 금리를 인하하기에 완벽한 시기"라면서 "그는 항상 늦은 편이지만, 그는 그 이미지를 지금 빠르게 바꿀 수 있다"라고 말했다.그는 금리 인하의 적기라고 판단하는 이유로 "에너지 가격이 내려갔고 인플레이션이 하락했으며 심지어 계란값도 69%나 내려갔다"면서 "일자리는 늘었다. 이 모든 일은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후인) 2개월 만에 이뤄졌다"고 밝혔다.그는 그러면서 "금리를 인하하라, 제롬. 정치를 하는 것은 중단하라"라고 말했다.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로 인해 올해 미국 경제가 역성장에 빠질 것으로 전망했다. 모건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무려 1.6%포인트나 낮췄다. 지난 2년간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온 미국 경제가 관세 충격으로 인해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JP모건의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 마이클 페롤리는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이 이전 1.3%에서 -0.3%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시장 전문가 레이 달리오(Ray Dalio)는 관세 정책이 세계 전체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으며, 수입국에는 인플레이션, 수출국에는 수요 감소라는 이중 부담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달리오는 궁극적으로 부채 부담과 무역 불균형이 현 금융 질서를 붕괴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라 경고했다.

코인버로(Coin Bureau) 창립자 닉 퍼크린(Nic Puckrin)은 “미국 경제는 2025년에 40% 확률로 경기침체에 진입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 정책이 장기적으로 시장에 구조적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진단했다.자산운용사 창업자 앤서니 팜플리아노(Anthony Pompliano)는 트럼프 대통령이 시장 붕괴를 의도적으로 유도해 연준의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2025년 1월 4.66%에서 4월 5일 기준 4.00%까지 하락했으며, 트럼프는 연준 의장 제롬 파월에게 단기 금리 인하를 촉구하는 글을 소셜미디어에 게시한 상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전방위적 관세 공격이 미국 주식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상호관세 발표 이후 이틀간 뉴욕증시는 6조6000억달러(약 9646조원)가 증발하면서 사상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내 정책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며 관세 정책을 철회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 역시 경기침체 우려에도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재발할 가능성을 의식하면서도 금리 인하에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시장을 달래 줄 ‘트럼프 풋(증시 하락을 막는 지원책)’도 ‘파월 풋’도 없는 전혀 없는 상황에서 증시는 속절없이 수직낙하하고 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