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부동산 시장, 트럼프 관세로 회복세 주춤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부동산 시장, 트럼프 관세로 회복세 주춤

"바닥이 어디인지 모르겠다"...미·중 무역긴장 속 불확실성 커져
정부, 추가 부양책 검토 중이나 투자심리 회복 여전히 난제
상하이의 주거용 건물.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상하이의 주거용 건물. 사진=로이터
중국의 부동산 시장이 정부의 부양책으로 간신히 회복세를 보이던 중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로 다시 불확실성에 직면하고 있다. 수개월간 거래와 가격 하락폭이 좁아지며 시장이 바닥을 다지는 듯했으나, 미·중 무역갈등으로 점점 회복이 지연되는 모습이라고 3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상하이 주택 구매자 콩지옹지옹은 "솔직히 바닥이 어디인지 모르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시장이 계속 하락할 것이라고 믿기 어렵다. 어쩌면 곧 다시 회복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계속 생각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무디스의 사라 탄 이코노미스트는 "미국과의 긴장 고조가 수출과 투자 약화로 이어지면서 올해 중국의 전망은 여전히 어둡다"며 "이러한 혼란은 가계를 불안하게 만들 것이며, 부동산 시장의 회복은 불균등하고 불안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정부는 3월 부동산과 주식시장 안정이 올해 최우선 과제라고 밝히며 소비 촉진을 위한 30개 항목의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 이 조치는 지난해 9월 모기지 금리 인하와 중고 주택 계약금 완화에 이은 것으로, 일시적인 판매 반등을 이끌었다.
UBS와 HSBC 홀딩스 등 일부 글로벌 은행들은 시장이 점차 바닥을 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HSBC의 미셸 곽 아시아 부동산 연구 책임자는 "중국의 주택시장은 안정화를 위한 견고한 기반 위에 있다"고 평가했으며, UBS의 존 램 중국 부동산 연구 책임자도 "우리는 변곡점에 있는 것 같다"고 동조했다.

이들은 재고 감소, 2차 시장 판매 호조, 기록적인 토지 판매 등을 근거로 들었다. 실제로 2025년 1분기 토지 구매 프리미엄은 평균 11.4%로 202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3월에는 국영 개발업체인 차이나 오버시즈 랜드 앤 인베스트먼트가 베이징 하이뎬구에 75억 위안 규모의 토지를 낙찰받았다.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전년 대비 주택 가격 하락폭은 축소됐으며, 신규 주택 가격은 5개월 연속, 중고 주택은 6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1분기 중장기 가계대출도 전 분기 대비 8832억 위안 증가했다.

그러나 미·중 무역전쟁이 심화되면서 시장은 다시 흔들리고 있다. 센탈린 프로퍼티에 따르면, 선전의 주택 판매는 4월 첫 2주 동안 3월 대비 40% 하락했다. "관세 긴장이 다시 불타오르면서 심리가 더욱 냉각됐다"고 센탈린 선전 지점의 웨이 카이 영업 이사는 설명했다.

이에 베이징과 상하이 당국자들은 주택 수요 개선과 미국 관세 영향 대응을 위해 5월부터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리들은 주요 은행에 베이징과 상하이의 주택구입 규제 추가 철회 효과를 평가해 달라고 요청했다. 베이징의 판매가 저조한 지역에서는 거주 요건이 완전히 폐지될 수 있고, 상하이도 사회보험 기여금 요건을 낮출 수 있다고 한다.

노무라와 뱅크오브아메리카도 "부동산 부문의 혼란을 정리"하기 위한 새로운 부양책을 예상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올해 말까지 최대 1조4000억 위안의 재정 자원이 부동산 투자와 전략적 인프라 프로젝트에 투입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분석가들은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로 소비자 신뢰가 훼손되어 주택 구입이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ANZ의 레이몬드 영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부동산 시장은 수요 측면의 모멘텀에 달려 있으며, 이는 결국 전체 경제가 진정한 회복을 위한 견고한 기반을 갖추고 있는지에 달려 있다"며 "솔직히 말해 우리는 아직 바닥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고 지적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