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中 CATL, 홍콩 IPO로 53억 달러 조달 목표...2021년 이후 최대 규모

글로벌이코노믹

中 CATL, 홍콩 IPO로 53억 달러 조달 목표...2021년 이후 최대 규모

최대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선전 주가 대비 1.5% 할인된 가격으로 상장
쿠웨이트 국부펀드 등 23개 초석 투자자 참여...조달자금 헝가리 공장 개발에 투입 예정
배터리 제조업체 CATL의 생산 기지 위치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배터리 제조업체 CATL의 생산 기지 위치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사진=로이터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인 컨템퍼러리 암페렉스 테크놀로지(CATL)가 홍콩 증시에 상장해 410억 홍콩달러(약 53억 달러)를 조달할 계획이다. 이번 상장은 콰이쇼우 테크놀로지가 2021년 1월 62억 달러를 유치한 이후 홍콩 최대 규모의 주식 매각이 될 전망이라고 12일(현지 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선전에 상장돼 있는 CATL은 12일부터 주당 최대 263홍콩달러 가격으로 1억1790만 주에 대한 투자자 주문을 받기 시작했다. 회사는 '그린슈(greenshoe)' 옵션을 행사해 최대 3800만 주를 추가로 매각할 수 있으며, 이 주식은 오는 20일 홍콩 증시에서 거래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번 IPO의 최고 매도 가격은 지난 9일 선전 종가보다 1.5% 낮게 책정됐다. 이는 지난해 중국 가전제조업체 메이디(Midea)가 40억 달러 규모의 홍콩 상장 당시 기록한 약 20%의 할인율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역외 상장 시 할인된 가격으로 주식을 제공받아 매수를 유도한다.

CATL의 IPO는 미국과 중국 간 관세 부과로 인한 시장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진행됐다. 이는 CATL이 매력적인 기업 가치와 강력한 유동성, 그리고 지원 정책 덕분에 올해 홍콩에서 H-share 상장을 신청한 여러 중국 본토 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준다. CATL의 본토 상장 주식은 12일 2.7% 상승 개장했다.
투자설명서에 따르면, 이번 공모는 약 26억 달러 상당의 주식을 매입하기로 동의한 23개 초석 투자자들을 유치했다. 여기에는 중국 국영 석유회사 시노펙(Sinopec), 쿠웨이트 국부펀드인 쿠웨이트 투자청, 대체자산운용사 힐하우스 인베스트먼트 등이 포함됐다.

CATL은 미국 증권법의 규정 S(Reg S)에 따라 국제적으로 기관·전문 투자자를 대상으로 '선택적 마케팅' 전략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이 규정은 미국 역내 투자자에 대한 판매를 제한하고, 미국 외 투자자들이 시장 감시단에 등록하지 않고도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증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CATL은 투자설명서에서 "최근 몇 년간 중국에서 미국으로 직접 수출된 제품에서 발생한 매출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지만 여러 국가의 관세 정책이 어떻게 발전할지 예측할 수 없으며, 이러한 정책의 후속 발전이 우리 사업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예측할 수 없다"고 밝혔다.

지난 1월 CATL은 미국 국방부가 중국군과 협력한 것으로 추정되는 기업 명단에 올랐다. 그러나 CATL은 그러한 사업이나 활동에 관여한 적이 없다고 거듭 밝혔다.

이 논란은 금융계로까지 번져 IPO의 스폰서 중 두 곳인 JP모건과 뱅크오브아메리카 증권이 미국 의회 패널인 '중국 공산당 특별 위원회'로부터 상장 작업을 중단하라는 요청을 받기도 했다.

이번 거래의 다른 스폰서로는 차이나 인터내셔널 캐피털 코퍼레이션과 차이나 시큐리티스 인터내셔널이 있다.

상장을 통해 조달된 자금은 대부분 CATL의 헝가리 공장 개발, 운전자본과 기타 일반 기업 목적에 사용될 예정이다. CATL은 헝가리에 약 7억 유로(약 7억9600만 달러)를 투자해 약 100기가와트시(GWh) 용량의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1GWh는 주행거리 500㎞의 전기자동차를 최대 1만3000대까지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이다.

2024년 CATL의 주주 귀속 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520억 위안(약 72억 달러)을 기록했으며, 매출은 원자재 가격 하락을 반영한 판매 가격 인하로 9.7% 감소한 3620억 위안을 기록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