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인도 스킨케어 시장서 K-뷰티 60여 개 브랜드 각축

글로벌이코노믹

인도 스킨케어 시장서 K-뷰티 60여 개 브랜드 각축

고품질·천연성분·현지화로 연 40~50% 성장
한류 열풍 타고 MZ세대 중심으로 급성장...2032년 13억 달러 시장 목표
한국 '마스크 팩'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인도 여성의 모습. 사진=인디아투데이이미지 확대보기
한국 '마스크 팩'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인도 여성의 모습. 사진=인디아투데이
한국 대중문화의 영향력이 인도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산하면서 K-뷰티가 인도 스킨케어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는 소식이다.

인도 스킨케어 시장에서 K-뷰티 60여 개 브랜드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으며. 깨끗한 화장품, 천연성분, 현지 맞춤 전략을 앞세워 일부 브랜드는 해마다 40~50%씩 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대중문화의 영향력이 인도 젊은 층을 중심으로 퍼지면서 K-뷰티가 빠르게 자리를 잡고 있다고 지난 18(현지시각) 인디아투데이가 전했다.

◇ 고품질·천연성분·혁신 제형으로 현지 소비자 공략


인니프리 인도법인 마케팅 책임자인 미니 수드 배너지는 "2013년 인도에 들어왔을 때만 해도 한국 화장품 브랜드는 두세 곳에 불과했으나, 지금은 60곳이 넘는다. 인니프리는 진출 이후 해마다 40~50%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랙슨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K-뷰티 기업은 1100곳이 넘고, 미국과 영국, 인도가 대표적인 시장이다. 인도에는 더페이스샵, 퀸치 보타닉스, 마카롱, 리메즈, 빌리프 등의 브랜드가 들어와 있다.

트랙슨의 네하 싱(Neha Singh) 회장 겸 전무이사는 "한국은 원래 개인용품 제조 중심지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품질 뷰티 브랜드를 키웠다""인플레이션, 지정학적 갈등, 공급망 문제에도 인도 소비자의 K-뷰티 선호는 꾸준하다"고 평가했다.

◇ 인도 피부톤 맞춤 제품과 클린뷰티 가치로 현지화 성공


인도 소비자 특성에 맞춘 현지화 전략도 K-뷰티 성장에 힘을 보탰다. 인니프리는 습한 인도 기후에 적합한 '노 세범(No Sebum)' 라인과 인도 피부톤에 맞춘 립 컬러를 출시했다. 배너지 책임자는 "클린 뷰티, 지속가능성, 천연성분에 기반한 K-뷰티 정신이 인도 소비자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장조사기관 스타티스타(Statista)는 인도 K-뷰티 시장이 2018년 약 38900만 달러(5447억 원)에서 202253100만 달러(7436억 원)로 성장했고, 2032년에는 13억 달러(18200억 원) 이상으로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인도 내 온라인 유통망 확장과 전자상거래 온라인 판매처의 성장도 K-뷰티 확산에 기여한다. 마카롱은 380여 개 브랜드, 18000여 제품을 취급하며 아마존, 나이카, 민트라 등 주요 플랫폼에 입점했다. 올해 하반기 구르가온에 첫 주력 매장도 연다.

투자 유치 활발... 미미박스 19300만 달러 최대


트랙슨에 따르면, 올해 1~4K-뷰티 스타트업은 490만 달러(68억 원)를 투자받았다. 미미박스(Memebox)는 누적 투자금 19300만 달러(2702억 원)로 가장 많고, GP클럽(6750만 달러, 945억 원), 클리오프로페셔널(5010만 달러, 701억 원)이 뒤를 잇는다.

한편 인도 화장품 업계에서는 "한국의 고품질과 천연성분, 현지화 전략, 한류 문화가 인도 뷰티 시장 판도를 바꾸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한, 인도 내 남성용 스킨케어 시장 성장과 K-뷰티 플랫폼 경쟁도 시장 확대에 한몫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