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재무 “성실 협상 안 하면 관세 원상 복귀…지역별 관세 부과도 고려”

글로벌이코노믹

美 재무 “성실 협상 안 하면 관세 원상 복귀…지역별 관세 부과도 고려”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외 관세정책을 본격 재가동한 가운데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이 "성실히 협상하지 않는 국가에는 지난달 2일(이하 현지시각) 수준의 관세를 다시 적용하겠다"고 경고했다.

19일(현지시각) NBC뉴스와 CNN 등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은 이날 이들 매체와 잇따라 진행한 인터뷰에서 "협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그들(해외 국가들)은 곧장 관세율을 통보받게 될 것"이라며 “4월 2일 발표됐던 국가별 관세가 다시 적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일을 ‘해방의 날’로 선언하며 전 세계 수입품에 일괄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일부 국가는 이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상호 관세'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베트남은 46%, 캄보디아는 49%의 고율 관세를 통보받은 바 있다.

이 조치로 뉴욕증시는 지난 2020년 이후 최악의 하락세를 보이며 수조달러 규모의 자산가치가 증발했고 시장 충격을 우려한 트럼프 대통령은 일주일 뒤인 9일 대부분의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혔다. 다만 중국에 대해서는 당시에도 예외를 두지 않았다.
이번 관세 유예 이후 미국과 중국은 상호 관세를 각각 30%, 10% 수준으로 낮추는 데 합의했고, 현재 90일간의 협상 기간이 진행 중이다.

이와 관련해 베선트 장관은 “미국과 중국 모두 물러선 것은 아니다”며 “서로가 끝없는 관세 전쟁은 지속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협상 틀을 마련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구체적인 협상 방식이나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한편, 베선트 장관은 CNN 인터뷰에서 “현재 미국은 18개 주요 무역 대상국을 중심으로 협상하고 있다”며 “실적으로 수십 개 국가와 개별 협상을 진행하기 어려운 만큼 일부는 지역 단위로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예컨대 중미 지역은 얼마, 아프리카 일부 지역은 얼마 식의 협정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블랙록 최고경영자(CEO) 래리 핑크는 지난 14일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에서 “향후 90일간 시장의 변동성이 예상되지만 각국이 민간 투자 활성화 기회를 찾는다면 이는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나 볼빈 볼빈자산운용 대표는 뉴스위크와 인터뷰에서 “중국이 협상 테이블에 복귀했다는 점에서 주식시장과 투자자에게는 승리이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에게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며 “대통령에게 주식시장은 성과를 보여주는 바로미터”라고 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