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내 크레인 생산업체 없어"...휴스턴항 "8대 발주 크레인에 3억 달러 추가 부담"
트럼프 행정부, 조선업 본국 회귀 정책 추진 속 항만 수수료·장비 관세 강화 계획
트럼프 행정부, 조선업 본국 회귀 정책 추진 속 항만 수수료·장비 관세 강화 계획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20일 개최한 공청회에서는 선박-해안(Ship-to-Shore, STS) 크레인에 대한 100% 관세 제안과 컨테이너, 섀시 등 화물 취급 장비에 대한 20%에서 100%의 관세 제안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공청회를 주관한 정부 패널은 4월 17일 발표된 중국 관련 선박에 대한 항만 사용료 인상과 외국산 차량 운반선에 대한 수수료 제안에 관한 항의 발언은 제한하고, 크레인 관세 논의에 집중했다.
미국의 81개 공공 항만을 대표하는 미국항만당국협회(AAPA)의 캐리 데이비스 회장 겸 CEO는 "AAPA가 미국에서 건조된 크레인을 보는 임무를 공유하고 있지만, 의회가 국내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먼저 세금 공제를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STS 크레인의 미국 생산자는 적어도 1980년대 이후로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데이비스는 서면 논평을 통해 중국 이외 지역에서는 일본의 미쓰이 E&S, 유럽의 코네크레인스 및 리브헤르 등 3개 회사만이 STS 크레인을 생산하고 있어 미국 항만의 대안이 매우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휴스턴항 찰리 젠킨스 CEO는 휴스턴항이 현재 중국과 계약한 8대의 STS 크레인을 2026년 봄에 인도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크레인은 2024년 7월에 주문되었다"며 "새로운 관세가 발표되기 몇 달 전"이라고 강조했다.
젠킨스는 제안된 100% 관세가 2024년에 도입된 기존 25% 관세에 더해질 것이며, 만약 트럼프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145% 관세가 현재의 90일 휴전 이후 다시 부과된다면 "8대 크레인에 대한 270% 관세는 3억 240만 달러에 해당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는 터미널에 투자하고, 미래의 화물 수요를 충족하고, 우리 지역과 국가의 일자리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미국 해운 회의소의 캐시 멧칼프 회장은 제안된 관세가 중국과 진행 중인 무역 협상과 상충된다고 지적했다. 미국 해운 회의소는 원양 유조선 및 컨테이너선을 소유, 운영 또는 용선하는 21개 미국 기반 회사를 대표한다.
멧칼프 회장은 "이달 초 제네바에서 열린 미국과 중국 간의 생산적인 논의에 기초하여,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협상, 관세 협상을 진행하면서 실제로 화물을 운송하고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바로 그 운송 수단에 관세, 항만 수수료, 크레인에 관세를 부과하려는 시도는 역효과를 낳는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조치는 조선업을 미국으로 되돌려놓으려는 '경제 애국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미국 내 대체 생산 기반이 없는 상황에서 급격한 관세 부과는 오히려 미국 항만의 경쟁력과 운영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특히 이미 발주된 장비에 대한 소급 적용 가능성은 항만 운영사들에 예상치 못한 큰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항만 업계는 무역 관세보다 국내 생산 확대를 위한 조세 인센티브와 투자 지원 정책이 먼저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