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과의 무역협정을 발표한 직후 미국과 인도가 관세 인하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무역협정 체결을 위해 막판 협상에 돌입했다.
인도 측은 자국 농업과 낙농업 보호를 이유로 일부 품목에 관세 인하를 거부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 기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합의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인도 정부 무역대표단이 지난주 미국 워싱턴에 도착한 이후 현재까지도 잔류하며 무역협상을 계속하고 있다”고 3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2일 ‘해방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한 상호관세 방침에 따라 인도산 제품에 26%의 고율 관세를 예고한 바 있다. 이후 협상을 위해 일괄 10%로 임시 인하한 상태이며 오는 9일 유예기간 만료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협상에 정통한 인도 상무부 관계자는 “미국산 유전자변형(GMO) 옥수수, 콩, 쌀, 밀 등에 대한 관세를 낮추는 것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히며 “모디 정부는 농민들의 이해관계를 저버리는 모습으로 비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인도는 대신 호두, 크랜베리 등 과일류와 의료기기, 에너지 제품, 자동차에 대해서는 관세 인하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대통령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인도와 관세를 상호 인하하는 거래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미국 기업들이 인도 14억 인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 협상은 단지 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전략적으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의 협상에 대해서는 “30~35%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며 강경한 입장을 내비쳤다. 이는 지난 4월 발표한 24%보다 더 높은 수준이다. 일본은 자동차 및 철강 품목에 대한 기존 25% 관세 철회를 요구하고 있지만,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진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인도의 이번 협상이 성사될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월 이후 유럽연합(EU), 영국, 중국, 베트남에 이어 다섯 번째로 고율관세 협상을 타결하는 사례가 된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