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 바이든 전 대통령보다 현재 미국 경제 상황에 더 책임이 있다는 유권자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WSJ가 여론조사기관 유고브에 의뢰해 지난달 17일부터 20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지지자 중 46%는 현재 경제 상황의 책임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있다고 답했고 바이든 전 대통령에게 있다는 응답은 34%에 그쳤다. 이는 직전 조사에서 트럼프 지지자들이 주로 바이든을 지목했던 것과는 상반된 결과다.
◇ “이제는 트럼프의 경제”…정책 변화가 인식 전환 이끌어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이 본격화되고 시간이 흐르면서 유권자들은 점차 그에게 경제 성과나 책임을 귀속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WSJ는 전했다. 특히 에너지 생산 확대나 미국 제조업 강화 노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응답이 많았다.
◇ 관점 따라 평가 엇갈려…“관세는 불확실성의 원인”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고율 관세 정책은 유권자들 사이에서 엇갈린 반응을 낳고 있다. 일부는 무역협상 전략으로 받아들이는 반면, 또 다른 일부는 물가 상승 우려를 드러냈다.
하버드대 경제학자 스테파니 스탄체바가 지난 4~5월 중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민주당 지지자의 80%는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것이라 답했고 공화당 지지자는 54%만 그렇게 봤다.
매사추세츠주 스톤햄의 55세 변호사 조지 게오르군초스는 “관세는 단기적으로는 가격을 올려서 부담이 되지만 장기적으로는 무역 협상력을 높이고 미국 경제에 안정성을 줄 것”이라고 평가했다.
◇ 경제 체감도는 정치 성향 따라 달라져
경제 지표에 대한 해석도 유권자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미국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봄철 부진한 흐름을 보이다 6월에 반등했지만 민주당 지지층은 여전히 부정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아리조나주 메사에 사는 42세 변호사 루비 베커는 “기저귀나 애견 사료, 콘서트 티켓 가격이 작년보다는 나아졌다”고 말했지만 “여전히 바이든 정부의 여파가 남아 있고, 트럼프 책임이라고 하긴 아직 이르다”고 했다. 그는 “2026년 1월 20일 이후를 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대통령의 경제에 대한 실제 영향력은 유권자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작다고 지적했다. 스탠퍼드대 경제학자 닐 머허니는 “유가는 국제 시장에서 결정되며, 대통령이 쥘 수 있는 지렛대는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유권자들은 자신이 지지하는 정치인에게 공을 돌리고 반대 정치인에게는 책임을 묻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바이든이 취임한 직후 민주당 지지층은 경제가 그의 책임이라는 응답이 많았으나 인플레이션이 급등하자 그 책임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돌리기도 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