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산 자동차에 최대 35% 관세 부과를 경고한 가운데 세계 굴지의 완성차 제조업체인 일본 토요타자동차가 자사 미국 공장에서 생산한 차량을 일본으로 다시 들여오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현지시각)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일본 정부와 자동차 업계는 오는 9일로 예정된 고율 관세 발효를 피하기 위해 다양한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토요타는 자사 딜러망을 활용해 미국 브랜드 차량을 일본 시장에 판매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토요타 “미국산 차량 일본서 판매 가능성 배제하지 않아”
히로키 나카지마 토요타 부사장은 지난 5월 1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면담 이후 자사 홈페이지에 올린 영상에서 “토요타는 미국에서 많은 차량을 생산하고 있으며 무역적자가 문제라면 미국산 토요타 차량을 일본에 역수입하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 브랜드 차량을 토요타 딜러망을 통해 판매하는 것도 하나의 선택지”라며 이같이 말했다.
◇ 트럼프, 일본 향해 “협상 어려워…35% 관세 부과 가능성”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일본은 협상에서 매우 강경하다”며 “협상이 결렬되면 일본산 수입품에 최대 3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일본에 대한 기본 관세율은 24%다.
이에 대해 이시바 총리는 “일본은 미국 최대 투자국이며 다른 나라와는 다르다”며 “양국 무역은 상호 투자를 바탕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일본제철의 미국 US스틸 인수 추진 사례를 들며 자동차 관세 면제를 요구했다.
◇ 일본 업계, 가격 인상·현지 생산 확대 등 다각도 대응
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아지자 일본 자동차 업계는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토요타는 이달부터 미국 내 차량 판매가를 평균 270달러(약 37만원) 인상하기로 했으며 마쓰다는 지난달 주주총회에서 미국 내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현지 생산 확대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다. 쓰바루는 70%에 달하는 미국 의존도를 고려해 2760억원 규모의 현지 생산 확대에 나섰고, 혼다는 멕시코와 캐나다에서의 생산 물량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닛산과의 미국 내 협력도 모색 중이다.
◇ 협상, 20일 참의원 선거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
BNP파리바의 고노 류타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자동차 관세가 최대 쟁점”이라며 “25% 고율 관세나 저관세 쿼터가 없는 제안은 일본 정부에 받아들여지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상호 관세율이 10%, 자동차 관세는 17.5% 수준으로 조정될 가능성은 있으나 일본만 예외 없이 관세가 인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고노는 또 “미·일 협상은 일본의 7월 20일 참의원 선거 이후에나 결론이 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