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전기자전거 시대 끝?…수소카트리지로 달리는 ‘하이퍼바이크’ 등장

글로벌이코노믹

전기자전거 시대 끝?…수소카트리지로 달리는 ‘하이퍼바이크’ 등장

아일랜드 스타트업 허버가 개발한 수소 기반 전기자전거 ‘분 H2(Boon H2)’. 사진=허버이미지 확대보기
아일랜드 스타트업 허버가 개발한 수소 기반 전기자전거 ‘분 H2(Boon H2)’. 사진=허버

전기자전거가 주도해온 개인 모빌리티 시장에 수소 연료전지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대안이 등장했다.

7일(현지시각) 에코뉴스에 따르면 아일랜드 스타트업 허버가 개발한 수소 기반 전기자전거 ‘분 H2(Boon H2)’가 기존 전기자전거의 한계를 넘어서는 차세대 이동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 리튬이온 배터리 없이 달리는 ‘수소바이크’


분 H2는 기존 전기자전거와 달리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수소 카트리지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전지 자전거다. 카트리지 1개에는 약 20g의 수소가 저압(약 10bar) 상태로 저장되며 연료전지를 통해 전기로 변환돼 모터를 구동한다. 에코뉴스는 “한 개의 카트리지만으로도 일상적인 주행이 가능하고 여분의 카트리지를 함께 휴대하면 장거리 이동도 어렵지 않다”고 설명했다.
수소 카트리지는 세척·충전·교체가 가능하며 기존 전기자전거처럼 배터리 충전 대기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자전거 무게는 약 25kg, 휠은 26인치로 설계됐으며, 시마노 투어니 변속기와 LCD 디스플레이가 탑재돼 조작 편의성도 확보했다.

◇ 가정용 수전해기까지 제공…“전력망 의존 줄인다”


분 H2의 가장 큰 차별점은 ‘가정용 수전해기’다. 에코뉴스에 따르면 이 자전거는 물과 전기를 이용해 가정에서 직접 수소를 생성할 수 있는 전용 수전해기를 기본 제공한다. 이 장치를 통해 별도의 수소 충전소를 방문하지 않고도 카트리지를 충전할 수 있어 사실상 자급자족이 가능한 수소 자전거로 평가받는다.

수소 카트리지 1개당 주행 가능 거리는 약 50km이며 2개 사용 시 500Wh 수준의 에너지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에코뉴스는 “이같은 설계는 관광객이나 장거리 이용자 모두에게 유용하며 전기자전거의 충전 대기 문제를 완전히 해결한다”고 전했다.

◇ 가격 650만원대…“지속가능성·자유로운 이동성 제시”


허버는 분 H2의 가격을 약 6000유로(약 1050만원)로 책정했으며 수전해기와 카트리지도 함께 제공된다.

에코뉴스는 “충전 인프라에 의존하지 않는 수소 자전거가 기존 전기자전거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분 H2는 단순한 에너지 전환을 넘어 차량에 국한되지 않았던 수소 모빌리티 확장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