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뉴욕증시 서클 CRCL 돌연 급등...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은행 진출"

글로벌이코노믹

뉴욕증시 서클 CRCL 돌연 급등...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은행 진출"

뉴욕증시/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뉴욕증시/사진=로이터
뉴욕증시 서클CRCL 돌연 급등... 스테이블코인 리플 XRP · 서클 CRCL "은행업 허가 신청" ... 뉴욕증시 "암호화폐 제도금융권 본격 진입"

리플 XRP와 서클 CRCL이 연이어 은행업 허가 신청를 냈다. 뉴욕증시에서는 "암호화폐 제도금융권 본격 진입"의 중대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고있다.

가상화폐 엑스알피(XRP·리플) 발행사인 리플랩스가 미국 연방 당국인 통화감독청(OCC)에 은행업 인가를 신청했다.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랩스 최고경영자(CEO)는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리플이 OCC에 국내 은행 인가(national bank charter)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어 "승인되면 우리는 주(州)와 연방 감독을 모두 받게 된다. 이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신뢰성을 나타내는 새롭고 특별한 기준"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의회가 지정한 '크립토 위크'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업계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 하원이 최근 상원을 통과한 '스테이블코인 법안(지니어스 액트)' 등을 집중 논의하기로 하면서다. 우리 정부도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법제화에 시동을 건 만큼, 미국 연방 차원의 스테이블코인 통합 논의 결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법제화에 탄력이 붙으면서 국내외 금융권 및 핀테크 업계의 시장 선점 경쟁열기도 달아오르고 있다.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는 오는 14~18일을 '크립토 위크'로 지정하고 지니어스 액트 등 스테이블코인 법안을 집중 처리하기로 했다.
지난달 17일 상원은 달러 100% 준비금 보유와 대규모 발행자에 대한 감사 의무 등을 담은 지니어스 액트를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현재 하원에 계류 중인 또 다른 스테이블코인 법안(스테이블 액트)과 간극을 좁혀 단일 입법으로 처리하는 방안이 유력하다.현재 상원과 하원이 각각 발의한 지니어스 액트와 스테이블 액트는 공통적으로 은행, 비은행 금융사, 일반 기업 등 다양한 민간 주체에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고 있다. 발행자에게는 자금세탁방지(AML) 및 은행비밀법(BSA) 준수 의무와 재무부 또는 통화감독청(OCC)의 등록 요건 등을 부과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다만 규제 적용의 주체와 강제성 측면에서는 차이가 있다.

리플 갈링하우스 CEO는 최근 자회사인 '스탠더드 커스터디 앤드 트러스트 컴퍼니'를 통해 연방준비제도 마스터(Federal Reserve master) 계좌를 신청했다면서 이로써 리플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 'RLUSD'의 준비금을 연방준비제도(Fed)와 함께 직접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2천500억달러(약 340조원)가 넘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RLUSD는 규제를 최우선으로 두고 기관들이 기대하는 기준을 설정한다는 점이 돋보인다"고 강조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