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NYT “푸틴, 도네츠크·루한스크 내놓으면 전선 동결 제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담 뒤 유럽 정상들과의 통화에서 우크라이나의 영토 양보를 전제로 한 평화협정 구상에 긍정적 태도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16일(이하 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와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트럼프는 당초 요구하던 ‘즉각 휴전’보다 곧바로 평화협정 협상으로 들어가는 방안에 무게를 실은 것으로 알려졌다.
◇ FT “푸틴, 알래스카 회담서 도네츠크·루한스크 요구”…NYT “트럼프, 유럽 정상들에 긍정 신호”
FT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전날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열린 미·러 정상회담에서 푸틴이 우크라이나의 도네츠크와 루한스크 지역에서 우크라이나가 철수하는 것을 조건으로 전쟁을 멈추고 헤르손과 자포리자 등 나머지 전선은 현 위치에서 동결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NYT도 트럼프가 회담 직후 유럽 정상들과의 통화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도네츠크·루한스크의 남은 미점령지까지 러시아에 넘기면 신속한 평화협정이 가능하다”는 취지로 언급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는 회담 전 “합의에 실패하면 러시아에 혹독한 경제적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고 경고했으나 회담 뒤에는 이 같은 제재 위협을 보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 휴전 선행 두고 엇갈려…트럼프 “평화협정 직행이 낫다” vs 유럽 “동의한 적 없어”
트럼프는 16일 새벽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푸틴과 회담 후 젤렌스키와 유럽 정상들과 통화했고, 휴전 없이 곧바로 평화협정을 협상하는 것이 낫다고 모두가 판단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 유럽 주요국은 그런 합의가 없었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며 “우크라이나에서 살상이 계속되는 한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FT에 따르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이 통화에서 민스크 합의가 불이행된 전례를 상기시키며 푸틴의 약속을 신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 유럽 외교소식통은 “푸틴은 장기전을 펼치며 약속을 지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젤렌스키, 18일 워싱턴DC로…“전쟁과 학살을 끝내는 모든 세부 사항 논의”
한편, 알래스카 회담에 초대받지 못했던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8일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트럼프와 회담을 한다. 젤렌스키는 미리 낸 성명을 통해 “전쟁과 학살을 끝내는 모든 세부 사항을 트럼프 대통령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NYT는 휴전을 생략한 채 평화협정 논의로 직행할 경우 최근 전장에서 우위를 보이는 러시아가 전황상 이점을 더 키울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