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국민의 미국 방문이 올해 들어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한 환율 요인만이 아니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캐나다 강경 행보가 맞물리면서 국경 너머 반(反)트럼프 정서가 확산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 방미 37% 감소…관광업계 직격탄
21일(현지시각) 미국 공영라디오 NPR에 따르면 캐나다 통계청은 최근 발표한 자료에서 지난 7월 기준으로 캐나다 거주자들이 미국에서 캐나다로 자동차를 타고 돌아온 횟수가 170만건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 줄었다고 밝혔다. 미 국제무역청(ITA) 집계에서도 올 1~5월 캐나다인의 미국 방문은 700만건에 그쳐 전년 대비 17% 감소했다.
◇ 정치적 갈등이 불매로 이어져
관계 악화의 불씨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서 시작됐다. 트럼프는 올해 초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만들겠다고 언급해 큰 논란을 일으킨데 이어 캐나다를 대상으로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국경을 마주한 양국 주민들에게는 단순한 정책 차원을 넘어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공격’으로 받아들여졌다.
뉴욕 플래츠버그에서 골프리조트를 운영하는 폴 데임은 “오랫동안 국경 경제를 함께 키워왔는데 최근 몇 달 사이 캐나다 차량이 20~30대에서 1~2대로 줄었다”며 “고객들이 정치적 모욕을 당했다는 감정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 현지 대응과 한계
캐나다와 이웃한 미국의 지방정부들은 이같은 상황을 바꾸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메인주는 지난 6월 재닛 밀스 주지사가 직접 캐나다를 방문해 관광을 독려했고 고속도로에는 ‘캐나다인 환영합니다(Bienvenue, Canadiens!)’라는 표지판을 설치했다. 그러나 현지 관광업계는 “방문객 감소세가 뚜렷해 매출에 대한 악영향이 불가피하다”고 호소한다.
◇ “정서적 문제, 쉽게 풀리지 않아”
관광업계 종사자들은 이번 감소세가 단순한 경기 요인과는 다르다고 지적한다. 버펄로 지역 관광 담당자 리아 뮐러는 “방문객이 줄어들면서 투어 그룹과 유람선 탑승객이 줄었다”며 “아직 행사가 중단될 정도는 아니지만 수익 감소가 뚜렷하다”고 전했다.
데임은 “캐나다인들의 반응은 감정적인 차원”이라며 “만약 반대 상황이었다면 우리도 똑같이 행동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미·캐나다 관계 회복 없이는 반트럼프 정서가 계속 확산될 수밖에 없고 그 여파는 양국 경제에 장기적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전망한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