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바이트댄스 AI 채택… "중국 운전자와 직관적 소통" 기대
비야디 등 현지 경쟁사보다 '6개월 늦어'… AI 기반 첨단 기능으로 판매 부진 '반전' 기대
비야디 등 현지 경쟁사보다 '6개월 늦어'… AI 기반 첨단 기능으로 판매 부진 '반전' 기대

이는 중국 내 전기차(EV) 구매자들과 더욱 직관적으로 소통하고, 현지 시장의 첨단 기술 수요를 충족시키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고 23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이번 달 테슬라의 중국 본토 웹사이트에 게시된 업데이트된 이용 약관에 따르면, 딥시크의 챗봇은 테슬라 EV 운전자가 시스템과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고 최신 뉴스 및 날씨 정보를 얻는 "AI 상호 작용"에 사용될 것이다.
또한, 바이트댄스의 'Doubao' 대규모 언어 모델(LLM)은 내비게이션, 차량 내 미디어, 에어컨 등 편의 시설을 음성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것이다.
테슬라의 이러한 움직임은 중국 현지 구매자들에게 어필하는 딥시크와 바이트댄스의 AI 시스템을 채택함으로써, 경쟁이 치열한 EV 시장에서 판매량을 늘리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테슬라가 최근 출시한 6인승 모델 Y L SUV가 다음 달부터 배송을 시작할 예정이어서, 새로운 음성 비서 시스템이 판매 부진을 반전시키는 데 기여할지 주목된다.
하지만 테슬라의 중국 AI 솔루션 채택은 현지 경쟁사들보다 약 6개월 늦은 것이다. 지난 2월 중순 기준으로 비야디(BYD0, 지리(Geely), 리프모터(Leapmotor)를 포함한 12개 이상의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는 이미 딥시크가 지원하는 AI 기능을 갖춘 자동차를 출시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바이트댄스는 이미 중국 본토 자동차 제조업체들에게 인기 있는 AI 공급업체로 자리매김했다. 지난해 바이트댄스는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와 협력하여 LLM을 차량 내 시스템에 통합했으며, 지리(Geely)와 만리장성자동차(Great Wall Motor)를 포함한 20개 이상의 회사와 "자동차 LLM 생태계 동맹"을 결성했다.
중국 자동차공업협회 데이터에 따르면, 7월 중국 EV 인도량은 126만 대로 전월 대비 5% 감소했으며, 이는 5월 이후 처음으로 월간 하락세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시장 둔화 속에서 테슬라의 이번 AI 기술 탑재 전략이 중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다시 사로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