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미국산 수입품에 부과했던 보복 관세 상당수를 철회한다고 22일(이하 현지시각) 밝혔다.
이는 교착 상태에 빠진 양국 간 무역·안보 협상을 다시 추진하기 위한 ‘선의의 조치’라고 카니 총리는 설명했다.
23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캐나다는 다만 미국산 자동차·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기존 관세는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카니 총리는 이날 오타와 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이 최근 북미자유무역협정(USMCA) 규정을 준수한 캐나다산 상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확인했다”며 “이에 캐나다도 USMCA 적용 품목에 대해 모든 보복관세를 철회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로써 양국 교역품목의 대다수에서 사실상 자유무역이 복원됐다”고 강조했다. 발표 직후 캐나다 달러 가치는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좋은 조치”라며 “우리는 캐나다에 잘해주고 싶다. 나는 카니 총리를 좋아한다”고 언급했다.
카니 총리는 지난 4월 총선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대미 관세에 강경 대응을 공약했지 취임 후에는 점차 온건한 노선을 택하고 있다는 평가다. 6월 말에는 미국 IT기업들이 반대한 디지털세 도입을 철회했고 7월에는 추가 제재 계획도 접었다. 반면 미국이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50%로 인상했을 때는 기존 25% 보복관세를 유지하는 선에서 대응했다.
캐나다는 중국과 함께 미국의 관세에 보복관세로 맞선 몇 안 되는 나라였다. 전임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지난 2023년 3월 미국산 연간 300억 캐나다달러(약 21조 원) 규모 상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카니 총리는 “지금은 강경 일변도의 대응보다 온건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향후에는 자동차·철강·알루미늄·목재 등 전략 산업과 2026년으로 예정된 USMCA 재검토 과정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내년 봄부터 재검토 논의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조치는 정치적으로는 카니 총리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유당 정부가 하원에서 과반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제1야당인 보수당은 카니 총리가 미국에 지나치게 유화적이라고 비판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