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외국인 노동자가 유로존 경제 성장에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같은 노동력 유입이 유럽 내에서 극우 세력의 지지 확산 등 정치적 반발을 동반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24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라가르드 총재는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전날 열린 미 연방준비제도 주최 연례 경제정책 심포지엄에 참석하 자리에서 유로존 경제 성장의 숨은 동력으로 외국인 노동자 유입을 꼽았다.
◇ 노동력 부족 완화·산출 감소 방지
그는 특히 독일과 스페인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독일은 외국인 노동자가 없었다면 국내총생산(GDP)이 2019년 대비 약 6% 낮아졌을 것이라고 했고, 스페인의 경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강한 성장세가 가능했던 것도 외국인 노동자의 기여 덕분이라고 강조했다.
◇ 유럽 인구 구조 변화와 갈등
유럽연합(EU) 인구는 지난해 4억5040만명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출산율은 줄고 있지만 순이민 증가가 4년 연속 자연 인구 감소를 상쇄한 결과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은 사회·정치적 갈등도 불러왔다.
독일 새 정부는 극우 정당 ‘독일을 위한 대안당(AfD)’의 지지 확산에 대응해 가족 재결합 및 재정착 프로그램을 중단했다. 이는 노동력 확보와 정치적 반발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 미국의 상황과 비교
한편,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한 이후 불법 이민자 체포를 강화하고 불법 국경 월경 단속을 확대했으며 수십만 명의 합법 체류 자격을 박탈했다. 이는 유럽과 마찬가지로 국내 정치적 불만을 반영한 강경 조치로 평가된다.
라가르드 총재의 이번 발언은 유럽 각국이 노동력 부족 문제와 정치적 반발 사이에서 이민 정책의 균형점을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를 보여준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경제 성장과 사회적 수용성이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풀어야 하는 상황에서 외국인 노동자 유입이 단순한 경제 문제를 넘어 정치적 쟁점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드러낸다고 로이터는 덧붙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