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캐나다, 중국산 전기차 관세 완화 검토…“카놀라 농가가 변수”

글로벌이코노믹

캐나다, 중국산 전기차 관세 완화 검토…“카놀라 농가가 변수”

지난 2022년 7월 28일(현지시각) 캐나다 매니토바주 라살 인근 농장에 카놀라가 피어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22년 7월 28일(현지시각) 캐나다 매니토바주 라살 인근 농장에 카놀라가 피어 있다. 사진=로이터

캐나다 정부가 현재 100% 부과 중인 중국산 전기차 관세를 조정할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이 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번 논의의 배경에는 서부 지역의 주요 수출품인 카놀라유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일렉트렉에 따르면 캐나다 재무부는 “중국의 정책과 무역 관행을 평가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며, 관세율과 부과 범위가 여전히 적절한지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캐나다는 지난해 10월 중국산 전기차에 100% 관세,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했는데 이는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을 뒤따른 조치였다.

◇ 中 보복 관세, 서부 농가 직격탄


중국은 맞대응으로 캐나다산 카놀라에 76% 관세를 예고했다. 캐나다는 세계 최대 카놀라 생산국이고 중국은 세계 최대 소비국이다. 이번 조치로 사스캐처원·앨버타 등 서부 농가가 큰 타격을 입으면서 손실액이 이미 수억달러에 달한다는 추산이 나온다.

◇ 보수 성향 주정부의 역설적 요구


관세 완화 요구를 주도하는 쪽은 보수 성향이 강한 서부 주들이다. 석유 산업 기반이 탄탄해 전통적으로 전기차에 부정적이던 사스캐처원과 앨버타 주지사들이 이번에는 중국산 전기차 관세를 풀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사스캐처원주 스콧 모 주지사는 직접 중국을 방문해 협상에 나섰고 캐나다 무역 당국자들도 곧 현지를 찾을 예정이다.

◇ 전기차 시장 진입로 될까


보수 성향 주정부가 오히려 중국산 전기차 도입을 요구하는 모습은 미국의 정치 지형과 대조적이다. 특히 ‘캐나다의 텍사스’라 불리는 앨버타주는 전기차 등록세까지 부과하며 반대해왔지만 농가 생존이 걸린 이번 사안에서는 입장을 바꾼 것이다.

일렉트렉에 따르면 캐나다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 관세 재검토를 공식화하자 중국은 카놀라 관세 부과를 연기했다. 일단 서부 농가의 피해가 다소 완화된 셈이지만 캐나다가 중국산 전기차 시장 개방 여부를 어떻게 결정할지가 향후 양국 농업·자동차 산업의 흐름을 좌우할 전망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