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일자리 2만 2000개 증가 그쳐, 지난해 일자리 91만 1000개 하향조정으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보도에 따르면, "미국 경제가 약해 보이고 연준도 약해 보인다"며 일자리 감소와 인플레이션 상승 속에서 연준이 금리 인하와 독립성 공격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다.
고용시장 급속 냉각, 스태그플레이션 조짐
미국 고용시장이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8월 일자리 증가는 2만 2000개에 그쳤다. 이미 약세를 보이던 고용시장에 충격을 준 것은 노동통계청이 지난 9일 발표한 대규모 하향조정이다.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1년간 일자리 수가 기존 발표보다 91만1000개나 적었던 것으로 수정됐다. 이는 경제가 당초 발표보다 절반 수준의 일자리만 만들어냈음을 뜻한다.
고용 부진은 계속되고 있다. 지난주 신규 실업급여 신청 건수는 26만 3000건으로 2021년 10월 이후 최고치에 이르렀다고 노동부가 지난 11일 발표했다. 8월 실업률은 4.3%로 올라 거의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스태그플레이션 조짐이다. 8월 전체 인플레이션은 연 2.9%로 상승해 연준의 목표치인 2%를 여전히 웃돌고 있다. 인구조사국이 이번 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실질 중위소득 증가율이 멈춰 섰다. 대출 연체율이 높아지고 소비자 심리가 비관으로 돌아섰으며, 7월 기업 파산 신청이 2020년 이후 월간 최고치에 이르렀다.
모든 소식이 나쁜 것은 아니다. 관세 영향에도 불구하고 도매 생산자물가는 지난달 조금 내렸다. 주식시장은 호황을 누리고 있으며 기업들은 인공지능 인프라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 부문의 강세가 다른 부문의 약세를 가리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의 연준 독립성 공격으로 정치 갈등 심화
연준 이사회는 오는 16~17일 금리 인하 여부를 놓고 회의를 연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두 가지 불편한 딜레마에 마주하고 있다.
첫 번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앙은행 독립성 훼손 시도와 관련된 문제다. 파월 의장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인 스티븐 미란과 리사 쿡을 같은 테이블에 앉혀야 한다.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미란이 금리 인하에 찬성표를 던질 수 있도록 이번 회의 전에 그를 확정하려고 서두르고 있다. 상원 은행위원회는 지난 10일 당론에 따라 트럼프가 연준 이사로 지명한 인물인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인 스티븐 미란을 통과시켰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14년 임기가 2038년까지인 쿡 이사를 해임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지난달 행정부는 명백히 정치적인 움직임으로 민주당 지명자인 쿡을 주택담보대출 사기 혐의로 해임하려 했다. 지난 9일 연방지방법원 판사는 쿡이 법정 소송이 진행되는 동안 이사회에 남을 수 있다고 판결했다.
미란이 승인되면 이사회가 더 어려운 과제를 다루는 동안 어색한 분위기가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 이사회가 금리를 낮추면 소비자들은 일부 안도감을 얻겠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해질 것이다. 금리를 그대로 유지하면 경제가 침체 궤도를 계속 밟을 수 있다.
경제에서는 기대가 스스로 이뤄지는 예언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더욱 문제다. 미래에 물가 상승을 예상하는 근로자와 공급업체는 오늘 자신들의 서비스에 대해 더 높은 가격을 요구하는 협상을 하는 반면, 경기 둔화를 예상하는 개인과 기업은 종종 이에 맞춰 자신들의 지출을 줄인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9월 17일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확률을 80% 이상으로 보고 있다. CME 페드워치 도구에 따르면 0.25퍼센트포인트 인하 가능성은 88% 수준이다. 시티그룹의 앤드루 홀렌호스트 이코노미스트는 "8월 고용 보고서의 부진이 이달뿐만 아니라 앞으로 몇 달간 추가 금리 인하가 적절할 것이라는 위원회 내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와 광범위한 이민 단속 같은 긴축 정책을 거둬들임으로써 연준을 도울 수 있다고 분석된다. 쿡에 대한 공격과 더 나아가 연준 독립성에 대한 공격을 다시 생각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약해진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파이터로서의 신뢰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며, 이는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더 많은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위험을 더욱 높이기 때문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