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기업들, 트럼프 관세 여파로 채용 중단·해고 확산

글로벌이코노믹

美 기업들, 트럼프 관세 여파로 채용 중단·해고 확산

지난 2021년 9월 3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맨해튼 5번가에서 취업박람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21년 9월 3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맨해튼 5번가에서 취업박람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정책이 미국 산업계에 직격탄을 날리며 고용 시장이 급속히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발 고강도 관세 드라이브의 여파로 제조업, 도소매, 에너지 등 관세에 가장 취약한 업종을 중심으로 신규 채용이 멈추고 감원이 이어지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 제조업·에너지 직격탄


FT에 따르면 미국 경제는 8월에 신규 일자리 2만2000개를 추가하는 데 그쳤다. 제조업은 1만2000명을 줄이며 올해 들어 총 7만8000명의 일자리를 잃었고, 광업·에너지 부문도 6000명이 줄었다. 도소매 부문은 올 들어 3만2000명이 감소했다.
농기계 업체 존디어는 올해 관세로 3억달러(약 4060억원)의 비용을 떠안았으며 연말까지는 그 규모가 두 배로 불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회사는 일리노이와 아이오와 공장에서 238명을 해고했으며, 3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26% 감소했다.

텍사스 유전업자 엘리엇 도일은 “기업들이 경기 침체에 대비해 감원을 서두르고 있다”며 “내년 전망은 더 암울하다”고 말했다. 석유·가스 산업은 철강·장비 비용이 상승하고 유가 하락까지 겹치면서 올해 4000명 이상이 이탈했으며, 셰브론과 코노코필립스는 각각 최대 8000명과 3250명 감원을 예고했다.

◇ 기업들 “불확실성에 투자·채용 멈춰”


오하이오주 애크런의 기타 이펙터 제조업체 어스퀘이커디바이스의 줄리 로빈스 최고경영자(CEO)는 “관세는 우리 같은 제조업체에 세금 폭탄일 뿐”이라며 “고용과 성장을 가로막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35명 규모의 회사에 3~4명을 추가 고용할 수 있었지만 불확실성 탓에 사실상 채용을 동결했다고 밝혔다.

미네소타주의 금속 가공업체 와이오밍머신의 트레이시 타파니 CEO 역시 “관세 정책이 시시각각 바뀌어 사업하기가 어렵다”며 “누군가 회사를 떠나면 후임을 뽑지 않는 방식으로 버티고 있다”고 토로했다.

◇ 경기 둔화 속 금리 인하 전망


고용 둔화는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일자리 성장이 둔화하면 트럼프 관세의 인플레이션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제조업 부흥을 내세웠지만 정작 가장 타격을 입은 곳이 제조업이라는 점에서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루스벨트연구소의 마이클 마도위츠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제조업은 노동력 부족 문제가 아니라 수요 위축과 급격한 정책 변화의 희생양”이라고 평가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