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틱톡 美·中 합의 윤곽…美 이사진 6명·中 1명, 알고리즘도 美서 운영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틱톡 美·中 합의 윤곽…美 이사진 6명·中 1명, 알고리즘도 美서 운영

미국 성조기 위의 틱톡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성조기 위의 틱톡 로고.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계 글로벌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운영 문제를 두고 합의에 근접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구체적인 합의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1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측이 지배적인 지분과 이사진을 확보하고 틱톡 알고리즘을 미국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하기로 양국이 의견을 모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기존 논의보다 한 발 더 나아갔다는 평가다.

로이터에 따르면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틱톡 미국법인 이사회의 7석 가운데 6석은 미국인이 맡고 나머지 1석만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가 지명하게 될 것”이라고 전날 밝혔다. 또 모든 미국 이용자 데이터는 오라클이 제공하는 미국 내 클라우드 인프라에 저장되며 틱톡의 핵심인 추천 알고리즘도 “미국에서 재훈련·운영돼 바이트댄스의 통제 밖에 놓이게 된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 중국·미국 ‘각자 다른 언어’

바이트댄스는 같은 날 위챗과 X를 통해 각각 다른 뉘앙스의 성명을 냈다. 위챗에서는 “중국 법률의 요건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틱톡을 운영하겠다”고 밝혔지만 X에 올린 영어 성명에서는 “적용 가능한 법률을 준수하겠다”며 미국 측 요구를 반영한 표현을 썼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중국 정부 입장을 고려한 이중적 표현”이라며 “양국 사이에서 법적 균형을 맞추려는 시도”라고 풀이했다.

◇ 트럼프–시진핑 통화 후 가속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9일 시진핑 주석과 통화에서 틱톡 문제를 논의한 결과 “합의가 사실상 마무리됐다”며 “아주 유명한 미국 투자자들이 틱톡 미국법인의 경영을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중국 측은 “기본적인 틀에 합의했다”는 원론적 입장만 피력해 알고리즘 소유권 등 세부 쟁점에서 완전한 일치에 도달했는지는 불확실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 의회·기업계 반응 촉각


미국 의회는 지난해 초당적 틱톡 금지법안을 제정해 틱톡이 중국 자본 아래 남아있을 경우 2025년 1월까지 미국 내 서비스가 금지되도록 규정했다. 이후 트럼프 행정부는 집행 시한을 네 차례 유예했으며 이번 합의가 최종 타결될 경우 틱톡의 미국 내 존속 불확실성은 사실상 해소된다. 다만 알고리즘 이전이 중국의 수출통제 규정과 충돌할 수 있어 법적 다툼 가능성은 남아 있다.

실리콘밸리 기업과 투자자들은 이번 합의가 중국 기업과의 기술 분쟁에서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주목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 주권과 플랫폼 통제를 미국이 직접 확보한 사례”라며 “앞으로 다른 중국 앱에도 비슷한 조건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