셧다운 고용보고서 물가 발표 취소 금리인하 작업 차질

셧다운으로 고용보고서 발표가 취소되면서 연준 FOMC의 금리인하 작업이 중대 차질을 빚고 있다. 연준 FOMC 의사록에서는 고용과 물가지표를 보그 금리인하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했으나 고용보고서와 물가지수 발표가 셧다운으로 연이어 취소되면서 금리인하 작업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동반 하락했다.
최근 인공지능(AI) 업계에서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계약이 잇달아 발표되며 달아올랐던 열기를 식히는 조정이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1.99포인트(0.20%) 내린 46,602.98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5.69포인트(0.38%) 밀린 6,714.59, 나스닥종합지수는 153.30포인트(0.67%) 떨어진 22,788.36에 장을 마쳤다.
S&P500 지수는 8거래일 만에 하락했다.
이날 조정은 건전한 조정 성격으로 보인다. 최근 AI 산업에서 대규모 설비 투자가 잇달아 발표된 후 연일 오르던 기술주가 숨 고르기에 들어가면서 주가지수도 하락했다.
하락세는 오라클이 주도했다. 금융매체 디인포메이션이 오라클의 클라우드 서비스 마진에 대해 월가 추정치보다 훨씬 낮다고 이날 보도하면서 오라클의 주가가 하락했고 기술주 전반의 투심도 냉각됐다.
오라클의 주가는 장 중 7% 넘게 하락하다 2%대로 하락폭을 좁힌 채 장을 마쳤다.
아메리프라이즈의 앤서니 사글림베네 수석 시장 전략가는 "(AI) 설비투자에는 많은 이해가 걸려 있고 새로운 AI 분야에서 수익을 늘리는 데 필요한 기술을 선점하거나 확보할 수 있는 역량을 얻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투자자들은 언젠가는 투자 규모를 보고 '투자 수익률은 얼마나 될까'라고 생각할 것"이라며 "AI가 거품 속에 있다는 뜻은 아니지만 기대치를 약간은 바꿀 기회가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오라클에 대한 부정적 보도가 나온 뒤 AI 및 반도체 위주의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2% 넘게 급락했다.
엔비디아는 약보합으로 방어했으나 TSMC와 ASML,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3% 안팎으로 하락했다. 램리서치와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는 5% 넘게 하락했다.
그나마 AMD는 오픈AI와의 대규모 공급 계약으로 낙관론이 지속되면서 이날 3% 넘게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임의소비재가 1% 넘게 떨어졌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 중에선 테슬라가 4% 넘게 하락했다. 전날 상승분을 대부분 토해냈다. 알파벳도 2% 가까이 밀렸다.
캐나다 광물 탐사업체 트릴로지메탈스는 미국 정부가 지분투자에 나선다는 소식에 주가가 211% 폭등했다. 미국 정부는 트릴로지의 지분 10%를 취득하기로 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모기업인 인터컨티넨탈익스체인지는 미국 예측시장 플랫폼 폴리마켓 지분을 20억달러어치 취득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1% 넘게 올랐다.
코로나 맥주 제조사인 콘스텔레이션 브랜즈 주가는 견조한 실적발표에도 상승률은 1%에 그쳤다.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이 7일째 이어지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셧다운의 책임이 민주당에 있다며 "거의 가미카제 같은 공격"이라고 맹비난했다. 가미카제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비행기로 돌진해 자폭했던 일본군을 가리킨다.
금 선물 가격은 안전 자산 선호심리가 강해지면서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4,000달러 선을 상향 돌파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2월까지 기준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은 81.3%로 반영됐다. 전날 마감 무렵은 84.8%였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0.87포인트(5.31%) 오른 17.24를 기록했다.
일론 머스크의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기존보다 저렴한, '모델Y'와 '모델'3의 새 버전을 7일(현지시간) 공개했다.
테슬라는 이날 자사 웹사이트를 통해 베스트셀링 전기차 모델Y와 모델3의 저가형 버전인 스탠더드(기본형)를 각각 선보였다. 최근 판매 부진을 만회하고 시장 점유율을 회복하기 위한 조치다.
모델Y 스탠더드 가격은 4만 달러 아래인 3만9천990달러로 책정됐다. 기존에 가장 저렴했던 모델Y의 롱레인지(RWD) 후륜구동 모델(4만4천990달러)보다 5천 달러 내렸다.
앞서 독일 전기차 전문 매체 일렉트렉(Electrek) 편집장은 소셜미디어(SNS)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테슬라 베를린 공장장의 발언을 보도한 독일 경제지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를 인용해 "새로운 모델Y의 기본 사양 가격이 약 10% 더 저렴해질 것"이라고 추정했다.
테슬라 측은 "지난 1년 동안 이어진 판매 둔화와 일론 머스크와 관련한 불매운동으로 인한 매출 하락"을 만회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새 모델Y 스탠더드는 기존보다 인테리어는 단순해졌고 주행거리도 357마일에서 321마일(516㎞)로 짧아졌다. 스피커 수는 줄고 뒷좌석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는 탑재되지 않았으며 가죽 시트는 제외됐다.
3만6천990달러짜리 새 모델3 스탠더드 버전도 선보였다. 4만2천490달러였던 기존 모델3 롱레인지(RWD) 후륜 구동 버전보다 5천500달러 가격이 낮아졌다. 다만, 이 모델 역시 주행거리와 일부 편의 기능이 줄어들었다.
머스크는 지난해 말 전기차 세액공제를 포함하면 차량 가격이 3만 달러 이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으나, 최대 7천500달러에 달하는 세금 혜택이 지난달 말 종료되며 가격은 이에 크게 미치지 못하게 됐다.
테슬라는 최근 온라인에 신제품으로 추정되는 차량 모습의 일부를 영상으로 공개하면서 시장에서는 신차에 대한 기대감이 나왔다. 테슬라의 신차 출시 기대감에 전날 뉴욕 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5% 상승 마감한 바 있다.
그러나 이날 새로운 모델이 공개된 후 시장은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날보다 4.45% 내린 433.0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
미 자동차 전문 웹사이트 에드먼즈(Edmunds)의 분석가 아이번 드루리는 "투자자들은 완전히 새로운 무언가를 기대했지, 기존 제품의 변형판을 원한 게 아니다"며 "이번 모델로 테슬라가 원하던 수준의 판매 회복은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엔/달러 환율이 8일 장중 152엔선을 넘어서는 등 달러화에 대한 엔화 가치가 8개월 만의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엔/달러 환율은 이날 오후 3시 50분 현재 도쿄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152.3엔 수준으로, 전 거래일 종가보다 1.16% 올랐다.
엔화 가치가 달러당 152엔대로 떨어진 것은 지난 2월 중순 이후 약 8개월 만이다.
'아베노믹스'를 지지하며 금리 인상에 반대 입장을 보인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총재의 집권이 예상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다카이치는 작년 총재 선거 때는 "지금 금리를 올리는 것은 바보라고 생각한다"며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에 명확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을 만큼 금융 완화에 입각한 '아베노믹스'의 지지자다.
그는 지난 4일 자민당 총재 당선 직후에도 일본은행의 금리정책과 관련해 "재정정책이든 금융정책이든 책임을 지는 것은 정부"라며 "2년 연속 물가가 올랐으면 이미 인플레이션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그의 자민당 총재 당선 이후 엔/달러 환율은 우상향해왔고 일본 증시도 상승 행진을 벌여왔다.
다만 이날 일본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 평균주가(이하 닛케이지수)는 전일보다 0.45% 내린 47,734로 장을 마쳤다.
단기 급등세에 따른 경계감이 시장에 퍼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닛케이지수는 전날 47,950으로 장을 마치며 거래일 기준 사흘 연속 종가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장중 한때는 역시 사상 최고치인 48,527까지 올랐다.
이번 주 뉴욕증시는 경제지표엔 큰 비중을 두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무게감 있는 핵심 지표가 예정되지 않은 데다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으로 그마저도 발표가 미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셧다운 장기화에 대한 불안이 남아 있고 인공지능(AI) 업계 안팎에서 거품론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어 경계심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뉴욕증권거래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뉴욕증시는 지난주에도 뜨거웠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종합지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까지 3대 주가지수가 모두 1% 이상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연방 정부 셧다운으로 주요 경기지표의 발표가 연기됐고 불확실성도 커졌지만 증시 참가자들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한국과 일본, 대만을 방문하며 주요 반도체 기업들과 투자 협약을 맺자 AI 산업 확장성에 대한 기대감이 증시를 지탱했다.
지금까지는 셧다운이 장기화하지만 않는다면 과거와 마찬가지로 주가는 영향을 받지 않고 강세장은 이어질 것이라는 게 시장 분위기다.
다만 장기화한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각종 이벤트에 대한 예측을 베팅하는 폴리마켓에 따르면 셧다운은 2주 이상 지속될 것이라는 시나리오에 가장 많은 49%의 베팅이 몰려 있다. 10~14일 내로 마무리될 것이라는 시나리오는 36%였다. 셧다운이 2주 이상 넘어가면 투자자들이 이상 기운을 느낄 공산이 크다.
특히 오는 28일부터 이틀간 진행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전까지 셧다운이 종료되지 않으면 증시는 예민하게 반응할 수 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9월부터 금리인하 기조를 재개한 배경에는 고용 냉각이 있는데 셧다운으로 9월 비농업 고용 보고서가 아직 발표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FOMC 회의 전까지 비농업 고용이 확인되지 못하면 FOMC 위원들은 '깜깜이' 상태로 기준금리를 결정해야 한다. 고용 현황과 괴리가 큰 결정이 나올 수 있다.
펀드스트랫글로벌어드바이저스의 하르디카 싱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셧다운은 중요하다"며 "10월 말 연준이 비농업부문 고용지표를 보지 못한다면 정책 결정을 내리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AI 산업을 둘러싼 거품론도 증시에서 계속 경계하는 요소다.
AI 거품론은 외부인뿐만 아니라 해당 산업 최전선에 몸담은 주요 인사의 입에서 계속 흘러나온다는 점이 특히 경계심을 자극한다.
지난주에는 미국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 창업자가 "현재 인공지능은 '산업적 버블' 상태에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기술 자체는 '진짜'이고 사회에 큰 이익을 가져올 것이고 궁극적으로 산업적 거품은 긍정적일 것"이라면서도 거품 형성과 붕괴 과정에서 많은 기업과 투자자가 쓸려나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솔로몬 최고경영자(CEO)도 AI 산업에 "엄청난 자본이 투입되겠지만 그중 상당 부분은 수익을 내지 못할 것이고 그때가 되면 사람들은 불편해질 것"이라며 "역사적으로 새로운 기술이 크게 가속할 때마다 막대한 자본 형성과 이에 따른 수많은 흥미로운 신생 기업이 태어났으나 통상 시장은 그 잠재력에 앞서 달리게 되고 결국 승자와 패자가 생겨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같은 경고는 AI 산업의 총아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가 지난 8월 공개적으로 'AI 거품론'을 언급한 뒤 빈도수가 크게 높아졌다. 올트먼은 당시 인터뷰에서 "투자자들이 AI에 과도하게 흥분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AI 기업들의 가치가 이미 통제 불능 수준"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고점 경계심이 확산되면서 장 중 뚜렷한 이유 없이 주가가 급락하는 상황도 자주 나타나고 있다. 지난 3일에도 오후 들어 나스닥 지수가 장 중 1%포인트 급락한 뒤 낙폭을 줄이기도 했다. 고점 경계심과 차익실현 욕구가 맞물렸을 때 종종 나타나는 흐름이다.
모건스탠리자산관리의 리사 샬렛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지난주 투자 노트에서 "생성형 AI 투자 스토리가 시장과 경제 모두에서 중심이 된 상황인데 앞으로 투자자들이 던져야 할 가장 중요한 질문은 지금이 경기 몇 회 초냐는 것"이라며 "시장의 할인 시각으로 보면 우리는 초반이 아니라 7회 말쯤에 와 있다"고 진단했다.
AI 거품론이 퍼지는 만큼 향후 공개되는 빅테크의 3분기 실적은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주요 미국 기업의 실적은 다음 주부터 대형 은행을 시작으로 공개된다.
◇주요 일정 및 연설
- 10월 6일
없음
- 10월 7일
8월 수출 및 무역수지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연설
미셸 보먼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부의장 연설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 연설
- 10월 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
마이클 바 연준 이사 연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연설
- 10월 9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8월 도매재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연설
미셸 보먼 연준 부의장 연설
마이클 바 연준 이사 연설
- 10월 10일
10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연설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
뉴욕시의 암호화폐 허브 구상이 불확실성에 직면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비트코인(Bitcoin, BTC) 지지자로 알려진 에릭 아담스(Eric Adams) 뉴욕시장이 재선 도전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9월 29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아담스 시장은 이날 X에 올린 영상 메시지를 통해 연방 뇌물 수수 혐의 관련 기각 사건으로 발생한 재정 문제와 선거자금 지원 중단을 이유로 재선 캠페인 중단을 선언했다. 그는 “우리가 이뤄낸 성과에도 불구하고 선거자금을 제대로 모을 수 없어 더 이상 캠페인을 이어갈 수 없다”고 말했다.
아담스는 2022년 취임 당시 팬데믹 이후 치안 회복을 내세워 지지를 얻었고, 범죄 감소와 경기 회복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여러 차례 불거진 스캔들로 정치적 입지가 약화됐으며, 이번 불출마 결정으로 재선 가능성은 완전히 사라졌다.
특히 아담스는 뉴욕을 글로벌 암호화폐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적극 추진해왔다. 그는 지난 5월 기자회견에서 “뉴욕시는 암호화폐 기업들에게 열려 있다”고 선언하며 디지털 자문위원회 설립과 비트코인 채권 발행을 제안했다. 또한 뉴욕주의 엄격한 비트라이선스(BitLicense) 제도 폐지를 촉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구상은 뉴욕시 감사관 브래드 랜더(Brad Lander)로부터 “법적으로 불분명하고 재정적으로 무책임하다”는 반박을 받았다.
문제는 후임 후보들 가운데 친(親)암호화폐 성향을 보이는 인물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이다. 민주사회주의 성향의 주 하원의원 조흐란 맘다니(Zohran Mamdani)가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암호화폐 산업은 그의 정책 기조가 업계에 우호적이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를 드러내고 있다.
현재 2위는 앤드루 쿠오모(Andrew Cuomo) 전 주지사이다. 쿠오모 전 주지사는 과거 암호화폐 거래소 OKX 자문을 맡은 이력이 있다. 그는 규제 중심의 접근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아담스와는 대립각을 세운 바 있다. 폴리마켓(Polymarket) 예측시장에 따르면 맘다니가 84.6% 지지율로 압도적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선거는 오는 2025년 11월 4일 치러지고 새 시장은 2026년 1월 1일 임기를 시작한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