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국정 지지도, 각종 논란에도 큰 변동 없어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국정 지지도, 각종 논란에도 큰 변동 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민 단속 강화와 언론 규제, 고등교육 정책 등 유권자 다수에게 비판받는 정책을 밀어붙였음에도 전체적인 직무 지지율은 43%로 안정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폴리티코가 지난달 30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폴리티코에 따르면 뉴욕타임스(NYT)와 시에나대가 지난달 22~27일(현지시각) 미국 유권자 13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같이 확인됐다.

이 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54%로 긍정 평가 43%를 11%포인트 웃돌았다. 그러나 이는 지난 4월 조사 때의 긍정 42%, 부정 54%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지지율 변동은 크지 않았다.

미국 유권자들은 연방정부 운영, 외교, 무역 등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성과에 낮은 점수를 매겼으며 경제 전반에 대해서도 부정적 평가가 우세했다. 다만 공화당 지지층 내에서는 “경제를 개선했다”는 평가가 4월 조사보다 크게 늘어 당내 결집력이 확인됐다.

연방정부 예산을 둘러싼 공화당과 민주당의 협상이 교착에 빠지면서 셧다운(업무정지)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유권자의 65%는 “민주당은 셧다운을 감수하며 요구를 관철해선 안 된다”고 답했다. 셧다운 발생 시 책임 소재에 대해선 공화당(26%)이 민주당(19%)보다 더 큰 비판을 받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무당파 유권자들은 공화당 책임론에 두 배 이상 기울었다.

미국 사회의 정치적 양극화는 더욱 심각해졌다. 민주당 지지층의 18%는 “트럼프와 공화당이 가장 큰 문제”라고 답했고 공화당 지지층의 16%는 “민주당이 최대 문제”라고 지목했다. 전체 응답자의 3분의 2는 “미국은 너무 분열돼 있어 국가적 과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비관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사 결과가 민주당에 경고 신호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내년으로 다가온 중간선거를 가정한 가상투표에서는 민주당 지지(47%)와 공화당 지지(45%)가 오차범위 내 접전을 보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