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HD현대로보틱스, AI·안전성 강화한 차세대 로봇제어기 ‘하이7’ 출시

글로벌이코노믹

HD현대로보틱스, AI·안전성 강화한 차세대 로봇제어기 ‘하이7’ 출시

AI 기반 위험 예측·자동 정지 기능 탑재…업계 최초 레이더 센서 통합
배선 최소화·통신·AI·안전 기능 일체형…레드닷 디자인상 수상 UI 적용
현대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현대 로고. 사진=로이터
HD현대로보틱스가 차세대 산업용 AI 로봇 컨트롤러인 하이7(Hi7)을 출시해 안전성, AI 기능, 사용자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켰다고 밝혔다고 로보틱스 앤 오토메이션 뉴스가 보도했다.

새로 출시된 컨트롤러에는 HD현대로보틱스의 독자적인 AI 기반 안전 제어 솔루션인 세이프스페이스(SafeSpace) 2.0이 탑재되어 고급 안전 시뮬레이션 및 모션 제어 기능이 가능하다.

AI는 센서에서 수집한 상황 데이터를 분석하여 작동 중 잠재적인 위험을 예측하고 움직임이나 충격을 감지하면 로봇의 움직임을 자율적으로 정지시켜 안전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한다.

특히 Hi7에는 공구가 안전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하는 공구 방향 모니터링(Tool Direction Monitoring)과 지정된 안전 구역 내에서 로봇의 움직임을 유지하기 위해 가상 울타리를 설정하는 동작 영역 모니터링(Motion Area Monitoring)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업계 최초로 Hi7은 레이더 센서를 충돌 방지 시스템에 통합하여 정밀한 물체 감지와 보다 정확한 안전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기존 시각 센서나 레이저 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정교한 안전 관리를 실현한다.

Hi7은 또한 배선을 최소화하고 통신, AI, 안전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하여 설치 및 운영을 단순화했다. 복잡한 산업 현장에서 로봇 시스템 구축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Hi7은 자체 AI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용 솔루션과의 연결을 지원함으로써 보다 스마트하고 유연한 생산 환경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용접 및 팔레타이징과 같은 애플리케이션별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Hi7은 협동 로봇과 산업용 로봇 모두와 호환되는 스마트 제어 플랫폼 역할을 한다. 협동로봇에 적용하면 산업용 로봇과 유사하게 표준 축 제어 외에 외부 축의 동시 제어를 지원한다. 이는 하나의 컨트롤러로 다양한 로봇 시스템을 통합 관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각 프로세스에 대한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다양한 작업을 지원하고, 여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외부 장비와 통합하여 산업용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기존 생산 라인과의 호환성을 높이고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Hi7은 레드닷 디자인상(Red Dot Design Award)을 수상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어 사용자는 로봇을 쉽게 설정하고 작동할 수 있다. 복잡한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도 로봇을 운용할 수 있어 중소기업의 자동화 도입 장벽을 낮춘다.

HD현대로보틱스 대변인은 "Hi7은 선도적인 산업용 AI 로봇 기업이 되기 위한 여정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며 "우리는 생산성을 높이고 산업 현장의 변화를 주도하기 위해 혁신적인 제품과 차별화된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Hi7의 출시가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 HD현대로보틱스의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평가한다. 특히 AI 기반 안전 제어와 레이더 센서 통합은 산업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용 로봇 시장은 인력 부족과 생산성 향상 요구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협동 로봇 시장은 중소기업의 자동화 수요 증가로 연평균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Hi7과 같은 범용 컨트롤러는 다양한 로봇과 호환되어 사용자의 선택권을 넓히고, 시스템 통합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로봇 산업 전체의 생태계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HD현대로보틱스는 최근 소프트뱅크가 ABB 로보틱스를 인수하는 등 글로벌 로봇 시장의 재편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Hi7 출시를 통해 기술 혁신과 시장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고 있다.

회사는 향후 AI 기술과 클라우드 연결을 더욱 강화해 예지 보전, 원격 모니터링, 자율 최적화 등의 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구축의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한다는 전략이다.

산업 현장에서는 안전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Hi7의 기능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자동차, 전자, 금속 가공 등 정밀 작업이 요구되는 산업 분야에서 높은 수요가 예상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