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룸버그에 따르면 13일(현지시각) 중국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종합지수는 각각 전 거래일 대비 0.19%, 0.93%하락했다.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도 0.5% 밀렸다.
미중 간 무역 갈등이 다시 점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 지난 10일 미국 증시가 급락한 흐름을 그대로 이어받았다는 분석이다.
종목상으로는 전기차 인명사고라는 악재가 더해진 샤오미 주가가 5.71% 폭락해 지수 하락을 주도했고, 텐센트(-1.92%), 알리바바(-1.69%) 등 대형 기술주들도 하락했다.
장중 한 때 3% 이상 하락했던 홍콩 항셍지수는 1.52%까지 낙폭을 줄이며 거래를 마쳤고, 대만 가권지수는 1.39% 하락했다.
중화권 증시가 약세를 면치 못한 가운데, 아시아 통화들도 큰 폭으로 내려 거래됐다. 블룸버그 아시아 달러 현물 지수는 한때 0.2% 하락해 지난 5월 9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시장 불확실성이 두드러지고 있는 상황에서 안전자산인 금 현물 가격은 이날 장중 온스당 4천60달러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 경신을 이어갔다.
은 현물 가격도 2.7% 상승한 온스당 51달러를 넘어서면서 지난주 기록한 장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아시아 주식 및 외환시장의 흐름은 소강상태에 있던 미중 무역 갈등이 다시 격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반영됐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중국에 대해 걱정하지 말라. 모든 것이 잘될 것이다"라고 밝힌 뒤 "시진핑 주석은 자기 나라가 불황을 겪는 것을 원하지 않고, 나 역시 마찬가지다"라며 극한 대치 상황을 피하겠다고 시사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은 경주에서 열리고 있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 오는 29일 방한해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